“반도체 소재·부품 국산화, 한국 中企에 기회 됐으면”

“반도체 소재·부품 국산화, 한국 中企에 기회 됐으면”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9-08-27 22:34
수정 2019-08-28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LCP 소재 국산화 성공한 윤성업 대표

스피커·유심·5G 안테나 제작 첨단 소재
日·美 80% 독점… 2016년 상업화 이뤄내
“중소기업 편견 없이 공정한 기회 갖기를”
이미지 확대
윤성업 세양폴리머 대표가 27일 인천 남동구 본사에서 액정고분자(LCP) 소재 국산화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세양폴리머 제공
윤성업 세양폴리머 대표가 27일 인천 남동구 본사에서 액정고분자(LCP) 소재 국산화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세양폴리머 제공
“아무리 품질이 좋아도 중소기업이라는 점 때문에 공급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공정한 평가 기회만 주어졌으면 합니다.”

전기전자 핵심 소재인 액정고분자(LCP) 소재 국산화에 성공한 세양폴리머 윤성업 대표는 27일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따라 추진되는 반도체 소재·부품 국산화가 모든 중소기업들에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세양폴리머는 2014년부터 시장에서 일본 제품이 주를 이루는 LCP 소재를 연구개발해 2016년 상업화에 성공했다.

윤 대표는 “LCP는 슈퍼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하나로 휴대폰 스피커, 유심칩, 5세대(G) 이동통신용 안테나 등에 사용되는 첨단 소재”라며 “그동안 일본과 미국의 소수 업체가 세계시장의 80% 이상을 독점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시장 역시 일본 제품이 60~70%, 미국 제품이 20~25%의 비중을 차지했다”면서 “세양폴리머는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제 점유율을 늘려 가는 형태”라고 소개했다.

일본 수출 규제를 계기로 국내 시장에서도 ‘세양 LCP’에 대한 검토와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윤 대표는 “자사의 LCP 제품은 일본, 미국 제품 대응 소재를 확보하고 있어 즉시 대체가 가능하다”며 “연 5000t 규모의 양산 능력을 갖춰 국내외 시장 대응이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시장은 물론이고 앞으로 해외 시장 진출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세양폴리머는 LCP 기술을 확보해도 판로 개척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 윤 대표는 “국내외 전기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품질 검증을 거쳐 기존 제품과 동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그럼에도 많이 사용되지 않은 것은 결국 중소기업이라는 한계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기업은 검증된 일본, 미국 제품을 쓰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해 왔다”며 “중소기업이라는 편견 없이 공정한 기회만 주어진다면 분명 제품을 맞출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를 향해서는 “중소기업들이 대기업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없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이어 주는 프로그램을 많이 개발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세양폴리머는 방탄복 등 군사 용도와 항공 우주, 일반산업 등에 사용되는 LCP 섬유 상용화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윤 대표는 “연말쯤 1단계 개발이 완료되고 내년에는 상용화 제품이 나올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9-08-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