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한전공대, 강소 연구중심 대학 지향해야/김재철 숭실대 전기공학과 교수

[기고] 한전공대, 강소 연구중심 대학 지향해야/김재철 숭실대 전기공학과 교수

입력 2019-08-26 17:48
업데이트 2019-08-27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재철 숭실대 전기공학과 교수
김재철 숭실대 전기공학과 교수
한국전력은 최근 이사회를 열어 한전공대 설립 계획을 가결했다. 결코 쉽지 않은 선택이었으리라 생각한다. 비록 학부 신입생 100명인 작은 대학이지만 미래 신기후 체제에 필요한 원천 기술과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혁신 대학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전기공학과 교수들은 한전공대로 인해 타 대학 학부생들의 전력회사 취업에 지장을 받고, 연구비가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한다. 기존 대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대학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변환이 절실한 시대다. 하지만 대학의 현실은 어떠한가? 학부는 학령인구가 줄어들어 운영이 어렵다. 대학원 역시 일부 유명 대학원을 제외하고는 입학생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일부 인기 대학원 역시 열악한 연구 환경에서 교수 개인의 역량으로 석박사를 지도하고 있다. 어렵게 배출한 박사들은 국내보다 해외 유명 대학의 박사 후 과정을 더 선호한다.

이렇듯 국내 대부분의 대학들은 연구에 필요한 능력 있는 박사 후 과정이나 유능한 교환 교수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어려운 구조다. 또한 연구 공간은 협소하며, 연구를 도와줄 전문 엔지니어나 기능 인력과 같은 연구 지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최근 일본과의 소재부품 무역 분쟁이 불거진 근본적인 원인은 그동안 대학이 양적인 학부 인력 양성에만 의존하고, 고급 연구 인력의 질적 성장을 소홀히 해온 문제점도 있다고 생각한다. 어려운 국내 대학 환경에도 불구하고 한전은 대학 신설이라는 도전적 선택을 했다.

이러한 한전의 선택이 장기적 침체 가능성이 높은 우리 대학에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무엇보다 연구 생태계를 변화시켜 국내 공학계가 반등할 수 있도록 대학 혁신의 롤모델이 되는 세계 최고의 강소 대학을 만들어 주었으면 한다. 다만 대학 설립까지 앞으로 많은 과정이 남아 있다. 한전공대가 세계 최고의 대학이 되기 위해서는 미래 비전과 리더십을 가진 총장과 우수한 교원 모집, 세계적 수준의 연구환경 조성 등을 통해 차별화된 대학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에너지 대학이라는 특성을 살려 기존 대학과 함께 세계로 성장해 나가야 한다.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는 싱가포르 난양공대(NTU)의 난양어시스턴트프로그램(NAP)과 같은 혁신 프로그램을 도입해 우리의 미래 잠재력인 젊은 과학자들에게 아낌없이 투자하는 대학이 되기를 희망한다.
2019-08-2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