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립한국문학관은 평가기관 아닌 수집·연구 공간”

“국립한국문학관은 평가기관 아닌 수집·연구 공간”

이슬기 기자
입력 2019-07-24 17:36
업데이트 2019-07-25 0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염무웅 초대 국립한국문학관장

이미지 확대
염무웅 국립한국문학관 초대 관장이 24일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2022년 개관하는 한국문학관 운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은 강형철 국립한국문학관 이사.
염무웅 국립한국문학관 초대 관장이 24일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2022년 개관하는 한국문학관 운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은 강형철 국립한국문학관 이사.
“복합 문화 공간으로 만들어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들에게 문학을 전달하는 한편 흩어져 있는 자료, 망실 직전의 자료를 최대한 모아 후손들에게 전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기본입니다.”

염무웅 국립한국문학관 초대 관장은 24일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법인 설립 이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포부를 밝혔다. 서울 은평구에 마련된 부지에 2022년 12월 건립을 목표로 하는 국립한국문학관은 지난 4월 법인을 설립하고 자료를 모으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까지 수집한 자료는 단행본, 연속간행물(신문 및 잡지), 작가 유품 등 유물을 포함해 7만 3000여건이다. 이 중 지난해 8월 서지학 권위자이자 국내 대표 문학 자료 소장가로 알려진 고 하동호 교수 유족이 기증한 자료가 5만 5000점에 달한다. 여기에 최근 김윤식 서울대 명예교수의 유족이 소장 자료와 재산 30억원을 문학관에 기부했다. 문학관 측은 ‘상록수’를 쓴 일제강점기 저항문인 심훈(1901~1936)의 유족이 자료 기탁 의사를 표명해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자료들은 서지학자·국문학자들로 구성된 자료 수집 전문위원회가 소장 가치 등을 심의해 국립세종도서관 수장고에 보관한다. 자료 구축 관련 예산은 25억원이다. 문학관이 초판본 희귀 도서 구입에 나선 이후 경매가가 2~3배 이상 뛰었다면서 자료 확보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염 관장은 “원로 문인과 학자, 유족, 시민들의 적극적인 기증이 필요하다”고 했다.

‘친일 작가들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국립한국문학관은 한국 문학작품을 평가하는 기관이 아니라 수집·연구하는 것이 1차적 기능”이라며 “김문집·장혁주처럼 노골적으로 친일 행각을 벌였어도 그런 반민족적인 행태가 나타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 사진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7-25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