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민주당, 정개특위 택하고 위원장에 홍영표…정의당 “매우 적절”

민주당, 정개특위 택하고 위원장에 홍영표…정의당 “매우 적절”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19-07-18 13:00
업데이트 2019-07-18 1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기자간담회 참석하는 홍영표
기자간담회 참석하는 홍영표 국회 정개특위 위원장에 내정된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전 원내대표가 18일 오전 기자간담회를 하기 위해 국회 원내대표회의실에 들어서고 있다. 2019.7.18
연합뉴스
국회 복귀 합의 따라 사개특위 위원장은 한국당 몫
홍영표 “기존 안 중심돼야 하지만 고수할 생각 없어”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와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중 정개특위를 선택하고 위원장에 홍영표 전 원내대표를 내정했다.

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18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정개특위를 맡아서 책임 있게 운영하겠다”면서 “(홍영표 위원장) 정치개혁에 대한 확고한 뜻이 있고,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처리 과정에서 여야 4당 공조에 대한 의지를 결자해지하는 차원에서 실권을 갖고 협상에 임할 책임자”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홍영표 위원장은 직전 원내대표 시절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 등 야 3당과의 공조를 통해 선거제·사법개혁 법안의 패스트트랙 지정을 끌어냈다.

민주당이 정개특위를 선택하면서 장외투쟁을 하던 자유한국당이 국회에 복귀 조건으로 내세워 국회 교섭단체 3당이 합의했던 대로 사개특위 위원장은 자유한국당 몫이 됐다.

민주당 지도부가 정개특위 위원장을 선택한 것은 선거제 개혁을 고리로 한국당을 제외하고 손을 잡았던 여야 4당의 공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된다.

앞서 여야 3당 교섭단체는 지난달 28일 정개특위와 사법개혁특별위원회 활동 기한을 다음 달 말까지 연장하고, 그간 정의당과 민주당이 나눠 가졌던 위원장을 원내 1·2당인 민주당과 한국당이 맡기로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정개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던 심상정 의원이 소속된 정의당 측이 반발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정개특위 위원장을 가져온 뒤 정의당에 위원장을 양보하는 안을 내놓기도 했다.

정개특위 위원장에 내정된 홍영표 의원은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선거법이야말로 여야 합의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정개특위 위원장으로서 여야가 합의할 수 있는 선거법을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국회법에 따른 적법한 절차에 따라 제출된 안이어서 그것(패스트트랙 지정안)이 중심이 돼야겠지만, 그 안을 그대로 고수하겠다는 뜻은 아니다”라면서 “합리적 대안이나 현실적인 합의 방안이 있다면 고수할 생각은 없다”고 설명했다.

홍 의원은 내달 말까지 선거법을 처리해야 한다는 정의당 주장과 관련, “선거법은 시한의 문제가 있어 무작정 (논의를) 연장할 수 없다”며 “8월 말이라고 시한을 정하지는 않겠지만, 자유한국당이나 다른 당들이 선거법 개정의 의지를 갖고 협상에 임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당이 정개특위 제1소위 위원장 자리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야 합의 정신이 기존의 특위 구성과 그간의 활동 내용을 승계해 특위를 연장한다는 것이어서 가능하면 큰 틀을 존중해야 한다”면서 “해당 문제도 논의를 해보겠다”고 말했다.

일부 야당에서 의원 정수 확대를 요구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단정적 평가는 하지 않겠지만 선거법은 국회의원 간의 이해 관계를 조정하는 문제가 아니고 국민 여론 문제가 있다”면서 “국민들이 국회에 요구하는 것들을 무시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정의당은 민주당이 정개특위를 택하고 위원장에 홍영표 의원을 내정한 데 대해 “매우 적절한 결정”이라는 반응을 내놨다.

김종대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홍영표 전 원내대표에게 특위위원장을 맡기기로 한 민주당 결정은 선거제도 개혁 완수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