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대상선 ‘디 얼라이언스’ 정회원 됐다

현대상선 ‘디 얼라이언스’ 정회원 됐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조용철 기자
입력 2019-07-01 22:28
업데이트 2019-07-02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일·일본·대만 해운사와 가입 계약 체결

현대 “2021년까지 초대형 컨선 20척 투입”
선박 공유 등 기존 회원사와 동등한 대우
‘위기’의 국내 해운업 재기 성공할지 주목
이미지 확대
문성혁(왼쪽 세 번째)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달 1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에서 해운동맹 ‘디 얼라이언스’ 회원사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현대상선의 10년 정회원 가입을 확정지은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대만 양밍의 브론슨 셰이 회장 겸 사장, 현대상선 배재훈 사장, 문 장관, 독일 하파크로이트의 롤프 하벤 얀센 사장, 일본 원(ONE)의 제러미 닉슨 사장. 해양수산부 제공
문성혁(왼쪽 세 번째)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달 1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에서 해운동맹 ‘디 얼라이언스’ 회원사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현대상선의 10년 정회원 가입을 확정지은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대만 양밍의 브론슨 셰이 회장 겸 사장, 현대상선 배재훈 사장, 문 장관, 독일 하파크로이트의 롤프 하벤 얀센 사장, 일본 원(ONE)의 제러미 닉슨 사장.
해양수산부 제공
국적 원양 선사인 현대상선이 세계 3대 해운동맹 중 하나인 ‘디 얼라이언스’에 정식 회원으로 가입했다. 위기에 봉착한 국내 해운업이 세계 해운 시장에서 신뢰를 회복하고 재기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과 배재훈 현대상선 사장은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상선이 2020년 4월부터 2030년 3월까지 독일·일본·대만의 해운 업체가 회원사로 있는 해운동맹 ‘디 얼라이언스’에 정회원 자격으로 협력 운항에 나선다고 밝혔다. 디 얼라이언스는 독일의 ‘하파크로이트’, 일본의 ‘원’(ONE), 대만의 ‘양밍’이 2017년 4월 결성한 해운동맹이다.

문 장관과 배 사장은 지난달 14일 서울에서 디 얼라이언스 3사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현대상선의 회원사 가입을 확정 지었다. 이어 같은 달 19일 대만에서 가입 계약을 체결했고, 이날 가입 사실을 공개했다. 기존 회원사 CEO들은 “디 얼라이언스의 경쟁력이 강화됐다”며 현대상선의 가입을 일제히 반겼다.

현대상선은 2017년 4월부터 세계 최대 해운동맹인 ‘2M 얼라이언스’와 ‘2M+H(현대상선)’라는 전략적 협력관계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정식 회원은 아니어서 협력은 제한적이었다. 2M은 세계 1위 해운선사인 덴마크의 ‘머스크’와 2위인 스위스의 ‘MSC’가 결성한 해운동맹이다. 배 사장은 “선복 교환 조건이나 항로 기획 등에서 기존 회원사와 동등한 대우를 보장받는다는 점이 좋았고, 기항 노선과 항구도 가장 유리했다”고 말했다.

해운동맹에 가입하는 것은 세계 해운 시장을 장악한 글로벌 해운사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해운업 특성상 한 해운사가 전 세계에 화물을 실어 나르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서로 동맹을 맺고 선박과 노선을 공유하는 것이다. 회원사가 되면 비용 구조를 개선하고 서비스 항로를 다변화해 안정적인 선대 운영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입에 실패하면 아무런 이익도 창출할 수 없다. 사실상 ‘왕따’가 되는 셈이다. 정부가 해운재건 5개년 계획에 따라 국내 유일 원양 선사인 현대상선을 지원하는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현대상선은 2만 3000TEU급 신조 선박 12척을 내년 2분기에, 1만 5000TEU급 신조 선박 8척을 2021년 2분기에 차례로 넘겨받는다. TEU는 컨테이너 박스 단위로, 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박스 1대를 의미한다. 현대상선은 2만 3000TEU급 컨테이너 선단을 아시아·북유럽 항로에 투입해 디 얼라이언스의 서비스 네트워크 강화에 나선다.

문 장관은 “내년 2월부터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차질 없이 투입되면 내년 하반기부터 현대상선의 적자 구조가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9-07-02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