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인영 “경제실정 낙인 거두면 ‘경제토론회’ 검토 가능”

이인영 “경제실정 낙인 거두면 ‘경제토론회’ 검토 가능”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9-06-19 15:10
업데이트 2019-06-19 15: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6.19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6.19 연합뉴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9일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수정 제안한 ‘경제토론회’와 관련해 “경제 실정과 국가 부채 책임을 인정하라는 연장선에서 청문회를 받으라는 것이 아니라면 검토할 여지가 충분하다”며 “낙인을 거둔다면 새로운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나 원내대표는 당초 국회 정상화 조건으로 민주당에 ‘경제청문회’를 요구했다. 그러나 국회 파행이 계속되자 문희상 국회의장이 절충안으로 경제토론회 형식의 ‘경제원탁회의’를 제안했다. 이에 나 원내대표가 “형식은 관계없다”고 밝히면서 양당이 접점을 찾을 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다.

이 원내대표는 다만 경제청문회에 대해선 “경제 실정이나 국가 부채 논란과 관련한 프레임 공세”라며 “애초 합의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대상도 아니었다”고 일축했다. 아울러 “협상의 원칙을 섞거나 교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관행”이라며 “일종의 반칙과 같은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 의장의 경제원탁회의 제안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국당의 프레임과 무관한 제안”이라며 “어제 오후에 제안받고 심사숙고하지 못했는데, 국회에 돌아가 검토하고 답을 드리려고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추가경정예산 규모에 대해서는 “국제통화기금(IMF)은 9조원 가량 추경을 편성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제안도 했다”며 “6조 7000억원을 편성해 어떤 면에서는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최저임금 인상 속도조절론에 대해선 “최저임금 논의가 인상률을 중심으로 너무 매몰돼 있는 것은 조금 바꿨으면 좋겠다”며 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아울러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지원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국회가 정상화되면 가장 먼저 하고 싶은 것이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지원 대책”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민주노총에 대한 세간의 비판에 대해 “민주노총의 부정적 이미지에 관해 설명하지는 않겠다”며 “우리나라 노동운동 전체를 어떻게 확대하고, 그 속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북돋을 것인지에 주목해 조금 다른 측면에서 포용적 시각으로 보면 어떨까”라고 반문했다.

이 원내대표는 최근 청와대에서 야권을 향해 강경 발언이 잇따라 나온 데 대해 “사전에 조율하지 않았다”며 “서로 독립적으로 정치 행위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의 ‘회전문 인사’에 대한 지적에는 “최근 인사문제와 관련해 자연스러운 소통과 의사전달이 시작됐다”며 “한두달 안에 모든 것이 바뀌지는 않겠지만, 그동안 경험하고 판단한 것보다는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원내대표는 내년 총선 공천에 대해 “신구간의 조화, 미래세대와 현재세대의 조화와 균형이 있으면 좋겠다”며 “제가 다리가 돼서 더 좋은 능력과 자질을 갖춘 후배들이 정치권에 들어올 수 있는 기회의 문을 열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민주당 총선 공천룰이 문 대통령 참모들에게 유리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친문 인사 일변도로만 공천할 것이라고 보는 것은 집단적 이성을 너무 과소평가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공천 심사에서 ‘정치신인’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조 수석은 ‘저명한 신인’”이라며 “만일 총선에 출마한다면 신인 가산점을 받으면서 출마할 가능성이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