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건축가가 본 수도원… 진리 향한 ‘절박함’을 마주치다

건축가가 본 수도원… 진리 향한 ‘절박함’을 마주치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9-06-13 22:50
업데이트 2019-06-14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프랑스 프로방스의 시토수도회 소속 르 토로네 수도원. 건축 거장 르코르뷔지에가 ‘진실의 건축’이라 불렀던 수도원으로 대단히 미묘한 공간을 갖춘 로마네스크 양식 건축이다. 돌베개 제공
프랑스 프로방스의 시토수도회 소속 르 토로네 수도원. 건축 거장 르코르뷔지에가 ‘진실의 건축’이라 불렀던 수도원으로 대단히 미묘한 공간을 갖춘 로마네스크 양식 건축이다.
돌베개 제공
묵상/승효상 지음/돌베개/520쪽/2만 8000원

흔히 건축은 ‘시대의 반영’이라 한다. 당대 삶의 양식을 투영할 뿐 아니라, 건축자의 철학과 의식을 고스란히 담아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면 종교 건축은 어쩔 수 없이 신앙과 종교인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라는 승효상이 돌베개에서 펴낸 ‘묵상’은 건축과 종교를 함께 들여다볼 수 있는 수도원 기행서로 눈길을 끈다.

승효상 자신이 만든 강좌 형식의 모임인 동숭학당이 떠난 다섯 번째 여행을 엮었다. 지난해 ‘공간’을 주제로 미술가, 소설가, 디자이너, 목사 등 각계 인사와 함께한 열흘간의 여정이다. 이번 여정 말고도 과거 진행한 그리스, 아일랜드, 티베트 여행기까지 한데 묶어 정리한 종교와 건축에 대한 단상이 정성스레 삶아낸 곰탕처럼 깊은 맛을 우려낸다.

‘건축가 승효상의 수도원 순례’라는 부제 그대로 책의 큰 기둥은 수도원 기행이다. 로마 근교 수비아코의 베네딕토 수도원을 시작으로 프란치스코 수도원, 르 토로네 수도원, 라 투레트 수도원, 롱샹 성당, 그랑드 샤르트뢰즈 수도원, 체르토사 델 갈루초 수도원, 클뤼니 수도원, 추방당한 수도자 기념관 등 30여개 도시의 유서 깊은 50곳 이야기가 ‘한국 대표 건축가’다운 예리한 통찰과 깊은 안목으로 풀어진다.
이미지 확대
아슬아슬한 산벼랑에 오뚝 선 베네딕토 수도원. 승효상은 맨 처음 발을 들인 이 수도원 앞에서 1500년 전 외지고 험한 이곳을 굳이 찾아 들었던 성 베네딕토(480?∼550?)의 ‘절박함’을 읽어낸다. 그런가 하면 프랑스 리옹의 라 투레트 수도원을 놓곤 “처음 발을 디딘 순간 심장이 멎는 듯한 충격에 빠졌다”고 밝히고 있다. “공간은 무한이었다. 암흑. 그 속을 뚫고 비수처럼 들어온 빛은 시간에 따라 천차만별의 조화를 부리며 암흑을 농락했다.” 건축 거장 르코르뷔지에(1887∼1965)가 남긴 최고의 건축이라는 이 수도원 인상기다.

이 밖에도 르코르뷔지에가 ‘진실의 건축’이라 칭한 르 토로네 수도원, 2005년 개봉된 영화 ‘위대한 침묵’으로 1000여 만에 내부를 최초로 공개한 그랑드 샤르트뢰즈 수도원, 스스로 유폐시켜 오로지 묵상 찬송으로 일생을 보내는 수도사들의 봉쇄수도원 체르토사 델 갈루초, 중세 최대였지만 지금은 폐허만 남은 클뤼니 수도원에 대한 단상들이 절절하다.

승효상은 ‘가난한 빈자의 미학’을 화두 삼아 늘상 나눔과 공동체를 입에 달고 사는 건축가로 통한다. 특이하게도 그는 틈날 때마다 수도원과 묘역을 주로 찾아다닌다. 그 수도원과 묘역은 ‘세상을 등진 이들을 위한 시설’이란 공통점을 갖는다. 그동안 숱한 여행기를 세상에 내놓았지만 수도원이란 단일 테마로 맘 먹고 책을 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부산 피란민촌에서 태어난 승효상의 부모는 교회를 만들다시피 할 정도로 독실한 신앙인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가족 생계를 위해 갑작스레 건축의 길로 들어섰다는 그의 신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도 책에는 적지 않게 들어 있다.

‘세상의 경계 밖으로 스스로 추방당한 자들의 공간’. 그 수도원을 놓고 저자는 “세상을 등진 채 신을 만나 평화를 이루려는 수도사들이 최선을 다해 지은 건물인 만큼 그 시대를 대표하는 최고 건축물이 될 수밖에 없다”고 잘라 말한다. 그래서 “우리가 수도원의 삶에서 배우는 것은 진리에 대한 사모와 그를 지키려는 열망, 그리고 이를 남과 같이 나누려는 선의”라고 강조한다. 라 투레트 수도원에서 남긴 글이 또렷하다. “내 상상은 관습이었고 지식은 헛된 것이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9-06-14 3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