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의 시간여행] 추억 속의 이름, 나룻배

[이호준의 시간여행] 추억 속의 이름, 나룻배

입력 2019-04-23 17:22
업데이트 2019-04-24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중국 땅을 돌고 돌아 두만강 앞에 섰을 때, 시선은 의지를 앞질러 강변을 훑고 있었다. 혹시 노 젓는 나룻배라도 보일까 하는 기대 때문이었다. 하지만 애당초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이었다. 북한 땅은 손에 닿을 듯 가까웠지만, 나룻배로 강을 건너던 시절은 아득히 흘러가 버린 과거일 뿐이었다.

‘두만강 푸른 물에 노 젓는 뱃사공/흘러간 그 옛날에 내 님을 싣고/떠나간 그 배는 어디로 갔소/그리운 내 님이여 그리운 내 님이여~’

김용호 작사, 이시우 작곡, 김정구의 노래로 1938년 발표된 대중가요 ‘눈물 젖은 두만강’ 가사 중 일부다. 이 노래의 탄생 배경을 두고는 다양한 설이 전해진다.

가사에 나오는 ‘님’은 조국을 위해 싸우다 스러진 독립투사를 상징한다고도 하고, 남로당 지도자 박헌영이라는 설도 있다. 또 항일투쟁을 하던 남편이 체포됐다는 소식을 듣고 물어물어 찾아갔으나 싸늘한 주검을 만나야 했던 한 여인의 애끓는 통곡이 담겨져 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사실이야 어떻든 이 노래처럼 이별이나 한을 깔고 있는 시와 노래에는 나룻배가 곧잘 등장한다.

나룻배 자체가 떠남을 전제로 하니 숙명적으로 이별의 정한을 담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버드나무가 가지를 늘어뜨린 강변에서 하얀 손수건을 흔드는 여인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그 끝에 조그만 나룻배가 있다.

노를 젓는 늙은 사공과 차마 이쪽을 바라보지 못하는 사내. 그림에나 나올 법한 그 정경은 짙은 슬픔을 깔고 있지만 가슴 저릴 만큼 아름답기도 하다.

‘낙동강 강바람이 치마폭을 스치면/군인 간 오라버니 소식이 오네/큰애기 사공이면 누가 뭐라나/늙으신 부모님을 내가 모시고~’

윤부길 작사, 한복남 작곡, 황정자의 노래로 1959년 발표된 ‘처녀 뱃사공’의 가사다. 이 노래에는 이별의 정한 대신 부모님을 모시면서 나룻배의 노를 젓는 처녀 뱃사공의 꿋꿋한 삶이 담겨 있다. 윤부길은 낙동강이 아닌 악양 나루터에서 “군에 입대한 뒤 소식이 끊어진 오빠를 기다린다”는 처녀 사공을 만났다고 전해진다.

곳곳에 나룻배가 남아 있던 시절이었을 것이다. 국토를 적시며 흐르는 강이나 조금 큰 내에는 대개 나룻배가 있었다. 삿대나 노를 쓰는 작은 배가 대부분이었다. 넓은 강에나 가야 돛단배가 오갔다. 19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배는 중요한 교통수단이었다. 지금도 곳곳에 있는 진(津)이나 포(浦) 같은 지명은 그곳이 배가 드나드는 나루터였음을 말해 준다.

전에는 다리가 그리 많지 않았거니와 어지간한 다리는 홍수 한 번이면 흔적도 없이 떠내려가기 일쑤였다. 그래서 강을 끼고 사는 동네는 나들이를 위해 나룻배가 꼭 있어야 했다.

뱃사공은 대개 나루터 근처의 작은 움막에서 살았다. 강 저쪽에서 어이~ 어이~ 사공~ 하고 부르면 한밤중이라도 삐그덕 삐그덕 노를 저어 가 강을 건너 줬다. 마을 사람들은 추수 때가 되면 선임(船賃)을 곡식으로 치렀다.

요즘도 나룻배가 모두 사라진 건 아니다. 은어가 물길을 거슬러 오르는 섬진강이나, 우렁이가 지천인 우포늪으로 가면 가끔 노를 저어 물길을 가르는 작은 배들을 볼 수 있다. 안동 하회 마을에도 부용대까지 오가는 배가 있다.

하지만 그 옛날 나룻배가 품었던 정서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관광 상품으로 전락했거나 교통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잃은 지 오래이기 때문이다. 나룻배들이 사라진 강은 견고한 시멘트 다리가 지키고 있다. 하지만 ‘시대 부적응자’들은 여전히 강가에서 흔드는 하얀 손수건을 그리워한다. 강과 나룻배는 그리움의 다른 이름이기 때문에.
2019-04-24 3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