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北 연고권 주장에…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 난항

北 연고권 주장에…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 난항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9-04-23 02:44
업데이트 2019-04-23 1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자흐 묻힌 평안도 출신 사회주의계열

이미지 확대
홍범도 장군 연합뉴스
홍범도 장군
연합뉴스
카자흐스탄에 묻혀 있던 애국지사 계봉우(1880∼1956)·황운정(1899~1989) 지사의 유해가 22일 고국 땅을 밟았지만 기대를 모았던 ‘봉오동 신화’의 주인공 홍범도(1868~1943) 장군은 끝내 돌아오지 못했다. ‘빨치산 대장 홍범도 평전’(2013)의 저자인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이 “일제가 가장 두려워했던 인물 첫째가 홍범도, 둘째가 김원봉, 셋째가 김구”라고 언급할 만큼 한국 독립운동사에 큰 획을 그었지만 남북 분단 상황에 가로막혀 국내 봉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날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홍 장군의 유해 봉환을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의 핵심 과제로 추진했다. 일제에 대한 무장투쟁에서 처음으로 승리한 봉오동 전투가 내년이면 100돌이 된다. 올해 7월 그의 활약을 담은 영화 ‘전투’도 개봉된다. 홍 장군이 한국에 돌아오면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에 ‘화룡점정’이 될 것으로 청와대는 기대했다. 그럼에도 이번 방문에서 유해 송환이 불발되자 학계에서는 크게 세 가지 이유를 거론했다.

우선 홍범도는 평안도에서 태어나 사회주의 운동에 매진한 독립운동가다. 1921년 소련을 세운 블라디미르 레닌(1870~1924)에게 지원금을 받아 연해주에서 협동농장을 운영했고 1927년 러시아 공산당에도 가입했다. 그에 대한 지역적·이념적 ‘연고권’이 북한에 있다는 얘기다. 앞서 김영삼 정부도 1995년 홍 장군의 유해를 봉환하려고 했지만 당시 북한이 반대해 무산됐다.

북한도 홍범도를 ‘비호(飛虎) 장군’으로 부르며 높게 평가하지만 자신들의 건국 과정을 ‘기승전 김일성’으로 설명하다 보니 굳이 홍범도와 같은 경쟁자를 부각시키지 않는다. 그의 독립운동 성과를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유해를 봉환할 생각도 없는 게 북한의 속내다.

카자흐스탄이 북한에 우호적인 점도 걸림돌이다. 카자흐스탄은 1850년 러시아 영토에 편입됐고 1936년 소련에 합병됐다. 북한과는 오랜 기간 사회주의 이념을 공유했다. 카자흐스탄 정부 입장에서는 전통적 우방인 북한의 의중을 거스르면서까지 홍 장군의 유해를 한국에 넘겨줄 생각은 없다. 이번 계봉우·황운정 지사 유해 송환 결정 역시 사전에 북한과 의견을 교환했을 가능성이 크다.

지금껏 대한민국이 그에게 큰 관심을 두지 않아 유해 송환 명분이 다소 약하다는 것도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홍범도는 최재형(1860~1920), 이동휘(1873~1935)와 마찬가지로 러시아에서 활동한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다 보니 정부나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는 “남북이 안중근(1879~1910) 의사 유해 공동발굴을 논의하는 것처럼 홍 장군의 유해 봉환을 위한 협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그의 유해 봉환이 고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를 풀어가는 좋은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 카자흐스탄을 국빈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홍 장군 유해 봉환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늦어도 봉오동 전투 100주년인 내년에는 홍범도 장군 유해를 봉환했으면 좋겠다”며 관심을 부탁했다. 이에 대해 토카예프 대통령은 “양국 관계와 국민 간 교류 등을 감안해 내년까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직접 챙기겠다”고 답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04-23 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