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정은, 중국·베트남 정상 축전에 답전… 전통 우방국 연대 복원 주력

김정은, 중국·베트남 정상 축전에 답전… 전통 우방국 연대 복원 주력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9-04-19 10:03
업데이트 2019-04-19 1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러정상회담 앞두고 다른 우방국과의 관계도 강조

이미지 확대
4차 북중정상회담 참석차 중국을 방문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월 9일 베이징(北京)의 호텔 북경반점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차를 마시며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DB
4차 북중정상회담 참석차 중국을 방문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월 9일 베이징(北京)의 호텔 북경반점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차를 마시며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DB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러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베트남과의 관계도 강조하며 전통 우방국과의 연대 복원에 나서는 모습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17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국가주석에게 답전을 보냈다고 조선중앙통신 등이 19일 보도했다. 이번 답전은 시 주석과 응우옌 주석이 지난 12일 김 위원장에게 국무위원장 재추대를 축하하는 축전을 보낸 데 대한 답장의 성격이다.

김 위원장은 시 주석에게 보낸 답전에서 “존경하는 (시진핑) 총서기 동지는 내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으로 계속 사업하게 된데 대하여 제일 먼저 진정 어린 따뜻한 축하의 인사를 보냈다”며 “이것은 나에 대한 총서기 동지의 더없는 신뢰와 우정의 표시로 되는 동시에 우리 당과 정부와 인민의 사회주의 위업에 대한 확고부동한 지지와 고무로 된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1년 남짓한 기간에 네 차례나 되는 상봉과 회담을 통하여 조중(북중)관계의 새로운 장을 공동으로 펼쳤다”며 “이 과정에 나와 총서기 동지는 서로 믿음을 주고받으며 의지하는 가장 진실한 동지적 관계를 맺게 되였으며 이는 새시대 조중관계의 기둥을 굳건히 떠받드는 초석으로, 조중친선의 장성강화를 추동하는 힘있는 원동력으로 되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조중 두 나라의 사회주의위업과 조선반도의 정세흐름이 매우 관건적인 시기에 들어선 오늘 조중친선협조관계를 더욱 귀중히 여기고 끊임없이 전진시켜나가는것은 우리들 앞에 나선 중대한 사명”이라며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중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나는 총서기 동지와 맺은 동지적 의리를 변함없이 지킬것이며 두 당, 두 나라 친선협조관계를 반드시 새로운 높은 단계에로 승화발전시키기 위하여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응우옌 주석에게 보낸 답전에서도 “얼마전에 있은 (응우옌 푸 쫑) 총비서 동지와의 뜻깊은 상봉은 두 나라 선대 수령들에 의하여 맺어지고 다져진 조선?남(베트남)친선을 새로운 높은 단계에로 승화발전시킬 수 있게 하는 튼튼한 토대로 되었다”며 지난달 2차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이뤄진 북·베트남정상회담의 의미를 평가했다.

이어 “나는 이 기회에 우리 두 당, 두 나라, 두 인민들사이의 전통적인 친선협조관계가 앞으로도 사회주의를 위한 공동위업수행에서 더욱 확대발전되리라는 확신을 표명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미 비핵화 협상에서 우군을 확보하기 위해 전통 우방국과의 관계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이는 미국과의 협상이 북한의 뜻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비핵화 협상을 중단하고 전통 우방국과의 교류협력으로 외교적 고립을 타개하는, 이른바 ‘새로운 길’로 나서려는 포석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공화국정부는 우리 나라의 자주권을 존중하고 우호적으로 대하는 세계 모든 나라들과의 친선과 협조의 유대를 강화발전시켜 나갈 것이며 조선반도(한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세계 모든 평화애호역량과 굳게 손잡고 나아갈 것”이라며 전통 우방국과의 연대 복원을 시사한 바 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