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치광장] 농사 시작을 알리는 선농대제/유덕열 서울 동대문구청장

[자치광장] 농사 시작을 알리는 선농대제/유덕열 서울 동대문구청장

입력 2019-04-18 17:58
업데이트 2019-04-18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유덕열 서울 동대문구청장
유덕열 서울 동대문구청장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농경사회였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에겐 예기치 못한 자연 현상으로 인해 풍년과 흉년이 엇갈리는 게 두려울 수밖에 없었다. 이런 백성들의 어려움을 같이 고민하고 백성들과 함께하고자 했던 애민사상이 깃든 제례가 있었는데, 기록에 따르면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에 위치한 선농단의 선농대제가 바로 그것이다.

선농단은 1392년 조선이 건국되면서 현재 위치에 단이 조성됐다고 한다. ‘삼국사기’를 보면 신라에서는 절기에 맞춰 입춘과 입하, 입추 때 세 번에 걸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그중 입춘 후에 지내는 제사를 선농제(先農祭)라 했다.

조선 태종 때 선농단 형태와 제도 전반에 대한 정비를 시작했고 성종 때 친경의식 전반에 대한 절차를 정비했다. 성종 7년에 조선 건국 이후 최초로 선농제를 지냈으며 숙종 대에 왕이 몸소 밭갈이 시범을 보이는 친경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예조에서 해일(亥日ㆍ穀雨日)에 제삿날을 정하면 임금은 3일 전부터 목욕재계하고 당일 새벽 선농단에서 여러 중신과 백성들이 참가한 가운데 농사와 곡식의 신들에게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행사가 끝나면 왕은 모든 참가자들의 수고를 위로하기 위해 소를 잡아 국말이밥을 내렸는데, 이를 ‘선농탕’이라 했다. 훗날 음운변화를 거쳐 설롱탕으로 읽게 되었고, 오늘날에 와서는 설렁탕이라 부르게 됐다고 한다.

선농단과 선농제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시설 대부분이 훼손됐고, 초석과 향나무 등 일부 잔존하던 선농단은 역사·문화적 가치와 의의를 되살리려는 민관의 꾸준한 노력으로 2015년 4월 선농단 역사문화관 조성과 함께 지역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유산으로 계승 보존되고 있다.

1979년 제기동의 뜻있는 분들이 선농단친목회를 구성, 선인들의 뜻을 되새기기 위해 1년에 한 번씩 이 단에서 치제를 올리기 시작한 이래로 1992년부터 동대문구가 이를 계승해 매년 4월 곡우(穀雨)를 전후해 선농대제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도 4월 20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초헌관으로 선농대제를 봉행한다. 농사의 시작을 알리고 풍년을 염원하려는 선현들의 얼이 깃든 곳에 많은 사람들이 들러 제례를 보고 무료 설렁탕도 먹으면서 진정한 애민이 무엇인지 되새겨 보면 어떨까.
2019-04-19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