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종철이 죽음 헛되지 않도록 남영동 대공분실 원형 복구해야”

“종철이 죽음 헛되지 않도록 남영동 대공분실 원형 복구해야”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9-02-24 22:24
업데이트 2019-05-28 1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권력의 피해자들] ‘6월 민주항쟁’ 박종철 열사 친형 박종부 유가협 청년회장

박종철 열사의 죽음은 묻힐 뻔했다.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쓰러졌다는 경찰의 어이없는 설명에도 대꾸할 수 없는 게 당시 분위기였다. 그렇게 의문사로 남을 수도 있었던 사건이 세상에 알려진 건 전적으로 우연들이 만들어 낸 힘 때문이었다. 만약 1987년 1월 당시 최환 부장검사가 경찰의 은폐 조작을 저지하지 않았다면? 일부 언론이 서슬 퍼런 5공화국의 보도지침 검열에 저항하지 않았다면? 열사의 친형이자 현재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유가협) 청년회장을 맡고 있는 박종부(61)씨는 “지금 생각해도 아찔하다”고 했다. 그는 “하나의 우연이 또 하나의 우연과 연결되고 결국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졌다고 본다”면서 “역사의 엄중한 무게가 느껴진다”고 말했다. 동생과 아버지를 떠나보낸 뒤 그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오늘도 새벽을 깨우는 박씨를 지난 19일 서울 용산의 박종철기념사업회 사무실에서 만났다.
이미지 확대
박종철 열사의 친형 종부씨가 지난 19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동생 사진이 담긴 액자를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성안나재단에서 강연한 뒤 선물로 받은 액자다. 액자에는 아버지 고 박정기씨가 1987년 1월 16일 임진강에서 박 열사의 유해를 뿌리면서 절규한 ‘철아, 잘 가그래이. 이 아부지는 아무 할 말이 없데이’란 내용이 적혀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박종철 열사의 친형 종부씨가 지난 19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동생 사진이 담긴 액자를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성안나재단에서 강연한 뒤 선물로 받은 액자다. 액자에는 아버지 고 박정기씨가 1987년 1월 16일 임진강에서 박 열사의 유해를 뿌리면서 절규한 ‘철아, 잘 가그래이. 이 아부지는 아무 할 말이 없데이’란 내용이 적혀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지난해 문무일 검찰총장이 세 차례에 걸쳐 부친을 찾았다. 검찰은 무슨 잘못을 했나.

“대다수 국민들은 검찰이 당시 어떤 잘못을 했는지 의아해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미 2009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검찰도 사건의 축소·은폐 조작에 깊이 관여한 점을 밝히고 유족과 국민에게 사과할 것을 권고했다. 10년이 흐른 지금도 당시 수사 검사(박상옥 대법관)를 포함해 수사 라인에 있던 검사 3명 모두 잘못을 인정하거나 사과를 한 적 없다. 물론 검찰이든 경찰이든 자기 허물을 드러내기는 쉽지 않았겠지.”

-문 총장 방문은 어떻게 이뤄졌나.

“지난해 초에 종철이 고등학교 친구(김기동 부산지검장)한테 연락이 왔다. 총장이 아버지(고 박정기씨)를 찾아뵙고 싶다고. 그때는 아버지께서 의식이 또렷하셨을 때였다. 아버지께서도 반대하시지 않아 만남이 성사됐다. 2월 3일 오후 3시. 정확히 날짜도 기억한다.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과 함께 와서 아버지께 사과를 했다.”

-부친이 뭐라 하셨나.

“아버지가 ‘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사과를 받아주겠습니다. 그런데 오늘보다 어제가 더 좋았을걸 그랬습니다’라고 말씀하시더라. 왜 조금 더 일찍 오지 않았느냐는 의미 아닐까. 그 말씀을 하시는데 울컥하더라. 당시 병상을 둘러 서 있던 저와 아내, 여동생 모두 뒤돌아서서 눈시울을 붉혔던 기억이 난다.”

-총장의 사과에서 진정성이 느껴졌나.

“총장이 종철이와 아버지의 삶을 다룬 책 ‘유월의 아버지’를 읽고 왔다고 들었다. 그전에는 아버지에 대해 잘 몰랐던 것 같고. 형식적으로 사과를 한 것 같지는 않았다. 그리고 한 달 뒤 공식 방문을 했고, 아버지 돌아가시기 직전 또 한 번 찾아왔다.”

-옆에서 지켜본 아버지의 삶은 어땠나.

“종철이가 3년 동안 민주화운동을 했다면 아버지는 30년을 했다. 외롭고 힘든 일도 많았을 거다. 어떤 날은 경찰 방패에 맞아 피멍이 들어 밤새 끙끙 앓으시다가도 새벽같이 일어나 유가협 사무실에 청소하러 가셨다. 제 아버지이지만 참 큰 어른이셨다.”

-아버지가 동생을 떠나보내며 하신 말씀 ‘이 아부지는 아무 할 말이 없데이’가 지금도 회자된다.

“왜 할 말이 없었겠나. 아들이 죄 없이 죽은 게 힘없고 못난 아비 때문이라고 생각하신 거지. 아버지는 1987년 11월 30일부터 거의 30년 동안 일기를 써내려갔다. 이 일기를 기록물로 남겨 놓는 작업도 하려고 한다.”

1994년 4월 26일 고인의 일기장에는 이런 내용이 나온다. ‘막내야, 다음에도 나는, 이 아버지는 민주화운동을 할 거야/ 역사에 없어도 나는 네가 하다 간 그것 할 거야!’ 3년 뒤인 1997년 5월 8일 일기장에는 아들을 떠나보냈을 때의 심정을 10년 만에 글로 담았다. ‘처절한 심정으로 이 넓고 큰 지구에서/ 나 혼자 변을 당하는 외로움/ 사지가 마비되는 고독감/ 당하고 마는구나 하는 마음이 바로 이날이었다.’

-문재인 대통령도 부친이 돌아가셨을 때 조의를 표했다. 어떤 인연이 있나.

“종철이가 그렇게 되고 나서 나흘 만인가 당시 부산에서 변호사로 활동한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이 집으로 찾아와 부모님을 위로해 줬다. 이후 아버지와 가깝게 지내셨다. 그런데 두 분 다 대통령이 되면서 예전같이 자주 만날 기회는 없어지더라(웃음).”

-동생이 고문당한 남영동 대공분실이 드디어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아버지 생전에 이뤄내지 못한 것이 아직도 가슴 아프다. 1999년 아버지가 유가협 회원들과 고령의 몸을 이끌고 국회 앞에서 422일간 천막농성을 벌인 적이 있다. 그 당시 민주화 과정에서의 희생자를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보상심의위원회, 과거사위원회 등이 꾸려졌다. 그때 남영동 분실을 넘겨받았어야 했는데 사회운동권 단체의 역량이 부족했던 것 같다. 그 기회를 한번 놓치니 20년이 흘러 버렸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13일 서울 남영동 옛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열린 박종철 열사 32주기 시민추모제에서 한 시민이 열사의 영정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13일 서울 남영동 옛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열린 박종철 열사 32주기 시민추모제에서 한 시민이 열사의 영정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분실을 경찰이 관리하면서 원형이 훼손됐다고 하던데.

“원형 보존과 복구 과정이 쉽지 않겠지만 역사 왜곡을 막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일이다. 이곳을 어떻게 만들어 나갈지도 우리 모두에게 남겨진 과제다. 우리가 지켜낸 민주주의와 인권은 후대에 물려줄 소중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2022년 개관(민주인권기념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의문사 가족들과 연대 활동을 많이 하는 것은 세상에 안 알려진 제2의 박종철 열사를 기리기 위함인가.

“문영수, 김두황, 한영현, 기혁, 한희철, 허원근, 우종원, 신호수, 김성수, 최우혁, 안치웅, 김용권…. 밤을 새워도 모자랄 정도로 너무 많다. 1988년 행방불명돼 시신도 못 찾은 안치웅의 경우, 행여 돌아올까 문도 못 잠그고 지내다 23년이 지나서야 시신 없는 장례식을 치러야 했다. 전태일, 박종철, 이한열뿐 아니라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목숨 바친 수많은 열사들, 그들의 뒤를 이어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 수십년을 헌신한 유가족들, 그들이 국가유공자가 아니면 누가 유공자이겠나.”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때라는 뜻인가.

“그렇다. 그들은 자식을 먼저 보낸 부모로 언제나 약자였다. 자신의 잘못이 아님에도, 여전히 죄책감에 시달리는 그들에게 손을 내밀어 주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될 거다. 너무 늦어 많은 분들이 한 많은 가슴을 부여안고 돌아가시는 현실이 안타깝다. 의문사는 누구든지 당할 수 있다. 불행한 과거가 다시 오지 말기를 바랄 뿐이다.”

박씨는 인터뷰를 마칠 즈음, 2005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설치됐을 때 위원회 명칭이 거북했다고 털어놨다. 피해자들의 동의가 없는 상태에서 ‘화해’라는 단어가 들어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보니 이처럼 꼭 필요한 말도 없다고 했다. 지금도 진행 중인 과거사 진상규명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는 길도 화해에 달려 있다는 메시지로 읽힌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9-02-25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