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맑고 고운’ 피아노 소리라는 착각/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피아니스트

[문화마당] ‘맑고 고운’ 피아노 소리라는 착각/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피아니스트

입력 2019-02-20 17:32
업데이트 2019-02-21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진상 피아니스트·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이진상 피아니스트·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맑은 소리~고운 소리~.” 오래전 어떤 피아노 브랜드 사의 CM송이다. 그 브랜드를 ‘온 세상에 울리는 맑고 고운 소리’로 자리매김하게 해 모두의 뇌리에 각인시킨 ‘효자’ CM송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파급이 얼마나 컸던지 우리는 이제 피아노라면 브랜드를 막론하고 으레 맑고 고운 소리를 가장 우선적으로 기대하고, 무의식적으로 그런 소리를 피아노 소리의 대명사로 착각하고 있지는 않았나 묻는다.

그 CM송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인지, 반대로 그 CM송이 우리의 감성을 반영했는지 모르겠지만, 옛 어른들은 피아노 소리가 ‘또롱또롱’, 혹은 ‘또로롱또로롱’ 난다며 그런 소리를 반가워하시고 좋게 받아들이셨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다른 나라의 언어에는 이런 느낌의 표현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그나마 존재하더라도 사용 빈도가 훨씬 덜하다. 우리나라의 의성어 사용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발달했다는 좋은 관점으로도 볼 수 있지만, 그 의성어가 필요 이상으로 자주 사용됨으로써 피아노 소리를 우리 스스로 어느 한 범주에 국한시키는 오류를 범하지는 않는지 생각해 볼 필요도 있다.

300년 전에 피아노가 발명된 뒤로 지금까지 피아노 제작과 발전의 뚜렷한 목표는 정확히 바로 그 ‘또롱또롱’ 소리가 안 나게 하는 데 있었기 때문이다. 소리가 시작되는 시점의 그 된소리를 풀어 주는 것이 첫 목표요, 마지막 지점의 ‘ㅇ’(이응) 받침을 최대한 늦춰 다음 음절까지 길고 풍부하게 울리게 만드는 데 마지막 목표가 있다. 안타깝게도 유럽의 피아노 제작자들 사이에서는 또롱또롱한 피아노 소리는 실패한 전형적인 소리로 정확히 받아들여진다.

실제로 어릴 적 동네 학원 선생님께서 불러 주던 “딴 따따딴”에 적응돼 있다가 전공 레슨을 받게 되며 기이하고 충격적인 추임새를 듣게 되는데, 그것은 “이얌 빠라바암”이란 괴상망측한 언어였다. 그러면서 내 피아노 연주의 어법은 조금씩 더 다채로워지기 시작한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더 강렬히 우리에게 각인돼 있는 수사구가 있다. “은쟁반에 옥구슬 굴러가는 소리.”

이 또한 우리의 뇌리에 아주 깊숙이 입력된 표현이다. 이 아름답기 그지없는 표현이 무슨 잘못이 있으랴. 귀한 물건들의 아름다운 소리를 표현한 상상력 넘치는 옛 은유적 표현을 우리가 스스로 상상력을 버리고 직유해 옥구슬이 또르르 굴러가는 소리가 이상적인 피아노 소리라고 또다시 착각하지만 않는다면.

옥구슬 굴러가는 소리는 주로 모차르트의 16분 음표 패시지의 모든 음이 정갈하게 고르게 나고 절뚝거리거나 꼬이지 않으면서 투명하게 연주될 때 주로 사용되는 표현이다. 그런데 이 역시 모차르트를 대변하는 감수성과는 전혀 거리가 멀다. 모차르트는 적어도 나에게는 순수, 정갈, 투명한 감수성을 우선해서 다가오지 않는다. 몹시 화려하면서 장난기 있고, 동시에 비통하면서 외로움에 사무친 지극히 인간적인 드라마가 꽉 차 있다. 청명하고 단아하기보다 드라마틱한 질풍노도가 모차르트의 음악적 성격과 감수성에 더 잘 들어맞는다.

어렸을 때 소나티네까지 진도를 무사히 나가다가 16분음표를 고르게 못 해내 선생님이 손등을 때리는 시기가 오면서 자연스레 피아노와 멀어진 사람이 많을 것이다. 옥구슬이 귀하기에 좋은 소리를 옥구슬에 비유하지만, 정말로 옥구슬 굴러가듯 고르게 칠 필요는 없다. 영화 ‘아마데우스’는 그런 면에서 모차르트의 면모를 잘 보여 주는 편이다. 그의 음악은 그저 귀하거나 평탄하지만은 않다. 은쟁반 위의 옥구슬보다는 영화에서처럼 거리에서 병나발을 불며 뜀뛰는 그의 모습을 상상하며 모차르트를 즐겨 보는 건 어떨까?
2019-02-2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