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라지는 재두루미, 현장전문가와 보호책 찾아야”

“사라지는 재두루미, 현장전문가와 보호책 찾아야”

이명선 기자
입력 2019-01-29 01:42
업데이트 2019-01-29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3000여마리 찾아왔는데 작년엔 10마리
잇따른 개발에 한강하구서 日로 옮겨가
농지를 먹이터로 활용하는 등 방안 필요
이미지 확대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현장전문가와 머리를 맞대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재두루미 보존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윤순영(65)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은 28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1980년대 초 우리나라 최대의 재두루미 월동지는 한강하구였다. 이젠 재두루미가 강원도나 일본으로 떠나가고 있어 머지않아 자취를 찾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협회는 한강하구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줄곧 관찰하고 있다. 한강하구 일대 재두루미 주요 먹이터는 경기 김포시 북변동 홍도평야와 고촌읍 태리·평리 평야로, 한때 3000여마리까지 찾아오곤 했다. 재두루미 습성상 먹이터와 잠자리 거리가 4㎞ 이상 벗어나면 안 된다고 한다. 잠자리와 먹이터가 가까운 데로 나뉘어 있어서다.
이미지 확대
재두루미
재두루미
한강하구 일대 잇따른 개발사업과 농경지 매립 탓에 재두루미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특히 경인아라뱃길 사업을 벌이며 급격하게 생태환경이 바뀌었다.

한강하구를 찾은 재두루미는 2011년 23마리, 2012년 15마리, 2013년 이후 12마리, 지난해엔 겨우 10마리였다.

윤 회장은 또 “김포 후평리에서 재두루미 보존사업을 하고 있는데 잠자리인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에 자리한) 장항습지와 멀어서 재두루미가 가지 않는다”며 “용역비로 해마다 3억원씩 10년간 투자하고 있으나 용역 주체가 매년 바뀌다 보니 사업 연속성이 없다. 귀소본능을 이용해 재두루미가 오는 데로 유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홍도평야에선 1992년 처음 재두루미 7마리가 관찰된 다음 2001년 120마리가 찾아와 홍도평야를 대체하나 했더니 이후 한강하구 갯벌 농경지 개간에 따른 환경 훼손으로 재두루미·흑두루미들이 김포 일대를 떠나기 시작했다”며 “이후 강원 철원과 경기 연천 등 민간인통제선에서 월동하던 새들이 이젠 일본 가고시마 이즈미까지 옮겼다는 게 아주 열악한 국내환경을 드러내는 부끄러운 사례”라고 덧붙였다. 최근 일본으로 1200마리가 둥지를 옮겼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먹이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회장은 “장항습지는 버드나무 군락으로, 이제 따지자면 습지라고 부를 수 없다. 현재 농경지가 있는데 일부 농지를 재두루미 먹이터로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장항습지 개방으로 재두루미 겨울나기를 더욱 힘들게 만들었다.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환경부는 한강하구 일대 보호대책을 하루빨리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2019-01-29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