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Z세대의 행동 패턴은 누가 만들어 냈을까. 바로 그들의 부모인 X세대다. 그들은 TV채널이 지상파 3개밖에 없던 어린 시절을 보낸 세대다. 하지만 그들이 아이를 낳을 때쯤 케이블 TV 채널이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15금, 19금 같은 숫자가 붙는 프로그램이 범람하고 있었다. 이에 놀란 많은 X세대 부모들이 특정 프로그램을 보지 못하게 통제하는 대신 특정 프로그램“만” 볼 수 있게 허용하는 옵트인(opt-in) 방식을 택했다. 하지만 TV시간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부모들도 식당 같은 공공장소에서 지루해하는 아이들에게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유튜브 채널 하나를 켜서 “이것만 봐” 하고 쉽게 던져 주었다.
미디어 소비는 습관이다. 우리는 꼭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 있어서 TV를 켜는 것이 아니라 소파에 앉으면 습관처럼 TV를 켠다. 마찬가지로 짬만 나면 부모에게서 스마트폰을 받아 동영상을 보던 아이들에게 유튜브는 TV보다 친근하게 되었고, 자라서도 심심하면 스마트폰에서 유튜브를 보는 것이 습관이 되었다. 지난 2년 동안 유튜브 사용량이 3배로 급증했다는 것은 모든 연령층에서 유튜브 소비가 늘었다는 것 외에도 Z세대가 부모의 감시 없이 마음껏 유튜브를 볼 수 있는 나이로 진입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동영상을 보유한 플랫폼인 유튜브가 앞으로도 승승장구할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Z세대 중에서도 지금 10대 후반에 도달한 아이들과 달리 열 살 전후의 아이들은 스마트폰이 없었던 세상을 기억하지 못하는 아이들이고, 훨씬 더 일찍부터 유튜브에서 시간을 보낸 아이들이기 때문이다. 그 아이들이 10대 후반, 20대에 접어들 즈음이면 유튜브 앱의 총사용시간은 지금보다도 더 늘어날 것이다.
세대로만 갈리는 것도 아니다. 아이들은 같은 또래들 중에서도 속한 그룹과 취향별로 전혀 다른 콘텐츠를 접하고 산다. 한 그룹에서 크게 인기 있는 유튜버인데도 다른 그룹에서는 들어 본 적도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전국의 가정에서 다 같은 TV를 보던 부모들의 어린 시절과는 전혀 다른, 파편화된 세상이다.
그런 그들이 자라서 만들어 낼 ‘커뮤니티’라는 것은, ‘사회’라는 것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잘은 모르지만, 적어도 우리가 이제까지 알던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 될 것이다. 우리는 그 새로운 세상에서 작동하는 새로운 소통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그러지 않고 우리가 아는 방식을 고집한다면? Z세대는 지금처럼 방에 들어가 문을 잠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