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통신업계 첫 제휴 추진
‘한류 먹힐 것’ ‘시장 확산’ 맞서PP·공중파 “역차별 고착화” 비판
콘텐츠 수익 배분 불공정 등 지적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인 ‘넷플릭스’의 한국 상륙이 본격화되면서 방송·통신 업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동통신·인터넷TV(IPTV) 3위 사업자인 LG유플러스가 최근 넷플릭스와 제휴를 추진 중인 가운데, 프로그램공급업체(PP), 공중파 업계가 ‘역차별, 미디어 생태계 파괴’ 논란에 불을 붙인 것이다.
앞서 넷플릭스는 CJ헬로, 딜라이브 등 케이블 업체에 콘텐츠를 제공해 왔지만, 통신업계와의 제휴는 이번이 처음이다. 유플러스로선 ‘콘텐츠 공룡’ 넷플릭스와 손잡고 가입자 점유율을 높이는 한편 넷플릭스 충성 고객을 묶어 두는 록인 효과가 있다. 넷플릭스는 앞서 일본 진출에 이어 한국을 아시아 진출의 교두보로 삼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내 자체 제작 콘텐츠 비중도 늘릴 계획이다. 지난해 영화 ‘옥자’를 시작으로 올 상반기 ‘범인은 바로 너!’ 등 예능 프로를 선보인 데 이어 하반기 ‘킹덤’, ‘YG전자’ 등 대형 드라마 공개를 앞두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최고경영자(CEO) 비서실장 겸 고문 변호사인 데이비드 하이먼이 오는 21일 양한열 방송통신위원회 방송기반국장을 면담하기로 하는 등 진출을 서두르는 분위기다.
이를 두고 관련 업계는 ‘한류 산업이 넷플릭스에 먹힐 것’이라는 우려와 ‘오히려 한류 시장 확산의 기회가 될 것’이라는 견해가 엇갈린다. 콘텐츠 수익 배분의 불공정, 통신망 사용료 등의 역차별 가능성도 지적된다. 그러나 현재 관련 규제 법률은 없는 상황이다.
김세원 협회 홍보팀장은 “수익료를 몰아주고 망이용료까지 없애 주는 ‘모시기 경쟁’을 하려다 보면 역차별이 더 고착화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유플러스 측은 “아직 진행 중인 협상이라 실현된 사항이 없어 입장을 밝히기 곤란하다”고 밝혔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