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여당의 대표라면 국정 운영의 한 축이다. 청와대·정부에 쓴소리도 하고 뒷받침도 해야 한다. 그러려면 대야 관계를 잘 풀어내야 하지만 그는 여당 대표라는 품위는 저버리고 경솔한 언행으로 국회를 멈춰 서게 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이번에도 경색된 국회를 풀기는커녕 더 꼬이게 하고 있으니 여권에서조차 추 대표를 “통제 불능”, “추미애 리스크”라고 하는 이유를 알겠다.
홍 대표 역시 막말 정치의 막장을 보여 주고 있다. “문재인 정권은 주사파 정권”, “판문점 선언은 주사파 합의”라며 여당에 색깔과 이념을 덧칠하려고 하니 당내에서조차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지방선거에 나선 후보들은 “제발 홍 대표 좀 오지 말라”고 손사래를 칠 정도다. 대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보수 혁신의 길을 가도 모자란 판에 그의 막말 시리즈는 멈출 줄 모르니 그 자체가 “보수 혁신의 걸림돌”이라는 지적을 들을 만도 하다.
정치는 말의 예술이라고 한다. 그만큼 말 한마디로 국민의 마음을 얻기도 하고, 멀어지게도 한다. 지금 여야 대표의 ‘막말 동맹’을 보면 한국 정치의 현주소를 여실히 보여 주는 것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이제 장외에서의 막말 정치를 접고 하루빨리 국회부터 정상화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