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이 회사를 떠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민간싱크탱크 희망제작소가 20~30대 연구자 8명과 함께 이 시대 2030세대 노동 이야기를 파헤쳤다. 연구자들 역시 노무사, 기자, 프리랜서, 협동조합 연구원, 문화평론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형태의 고용과 노동을 경험했다.
이들이 가장 주목하는 건 2030세대가 ‘일’을 바라보는 관점이 기성세대와 다르다는 점이다. 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2030세대의 노동 문제를 풀 수 없다. 이들에게 일이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라기보다 자신의 가치와 일상적인 삶을 지켜내는 수단이자, 사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안정성’ 역시 정년 보장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세대가 생각하는 안정성은 자신의 가치와 강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결국 이들이 회사를 떠나는 건 보상 없는 초과근무, 잦은 회식, 성폭력과 폭언, 개인이 성장할 수 없는 조직에 매몰되지 않고 자신의 건강과 존엄을 지키려는 방편인 것이다. ‘휴가 가기 위해 사표 내는 사람들’이라는 주제 앞에서 대기업 정규직, 비정규 프리랜서 할 것 없이 “내 얘기하는 줄 알았다”며 고개를 끄덕이는 이유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