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AI 기반 모바일 제공”
융복합 기술 ‘통합 플랫폼’ 구상커넥티드카·5G 팩토리 등 구현 KT가 내년 3월에 5세대(5G) 이동통신을 상용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버라이즌 등 글로벌 기업이 추진 중인 ‘프리(PRE)5G’ 같은 낮은 수준의 5G 서비스는 건너뛰겠다는 입장이다.
KT 네트워크부문장인 오성목 사장은 22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동성과 도달범위(커버리지)가 보장돼야 진정한 5G”라면서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내년 3월까지 전국 어디에서든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겠다”고 밝혔다. 버라이즌과 AT&T 등 글로벌 이동통신 업체들은 올 하반기 5G 고정형 초고속 인터넷(FWA)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일각에선 버라이즌이 준비 중인 5G FWA 서비스가 세계 최초 5G 상용 서비스가 될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KT는 모바일 기반의 통신 서비스 제공이 엄밀한 의미의 5G 서비스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당장 내년 3월부터 모든 고객이 5G 상용화를 체감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등 제조업체들이 개발 중인 5G 단말용 칩세트가 올 연말부터 출시되는 탓이다. 전국망을 구축하는 데도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오 사장은 “5G 전국망을 초기부터 4G(LTE) 커버리지 수준으로 깐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초기엔 주요 도시에 5G 망을 깔고, 나머지는 LTE로 커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