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1~3/박지원 지음/김혈조 옮김/돌베개/1권 560쪽, 2권 544쪽, 3권 584쪽/각권 3만원
‘…창대가 말하기를, 어제 아침에 우연히 명륜당 오른쪽 문 가리개 아래에 있었는데, 기려천과 왕삼빈이 팔짱을 끼고 목을 나란히 하여 홰나무 뒤에 서 있더니 한참 뒤에 입을 맞추고 혀를 빨더군요. 마치 전각 위의 얼룩무늬 목을 한 비둘기처럼 하였는데, 사람이 가리개 사이에 있으면서 훔쳐보는 줄도 모릅디다…’
요즘 소설이 아니다. 조선시대 최고의 문학 작품으로 평가받는 연암 박지원(1737~1805)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 등장하는 대목이다. ‘열하일기’는 연암이 청나라를 다녀와 쓴 기행문이다. 재기발랄한 글쓰기에 거침이 없었던 연암조차 동성애가 당시 습속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점을 의식한 듯 직접 목격한 게 아니라 전해 들은 형식으로 서술한다. 그런데 그간 일반 독자들은 이 대목을 접하지 못했다. 한문으로 쓰인 ‘열하일기’를 한글로 옮긴 번역본은 지금까지 10여종이 나왔는데 연암 연구가 김혈조 영남대 교수가 최초의 완역본을 표방하며 2009년 돌베개를 통해 선보인 번역본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열하일기’는 시대착오적인 반청 사상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조선이 낙후한 책임을 물어 양반 사대부를 비판한 탓에 시대와의 불화를 겪었다. 그래서 당대에는 제대로 출간된 적이 없고, 후손들과 후학들에 의해 사회적 통념에 배치되는 일부 내용들이 수정되고 삭제된 이본들이 여러 가지 나왔다. 김 교수의 번역은 1932년 박영철본을 바탕으로 삼았는데 이조차 여러 차례 윤색을 거친 것이었다.
그런데 2012년 연암이 직접 쓴 것으로 추정되는 이가원 선생 소장의 초고본과 이를 필사한 초고본 계열이 영인본으로 세상에 공개되며 온전한 ‘열하일기’에 한발 더 다가서는 전기가 마련됐다. 김 교수는 초고본 등을 일일이 비교하며 누락되고 변형된 부분을 바로잡았다. 또 초고본의 글투에 맞게 다시 정리했다. 2009년 출간본의 개정판인 셈인데 따로 책 한 권을 족히 만들 정도인 164쪽이 늘어났다. 연암이 중국의 희귀 성씨를 언급한 부분에서 성적인 내용을 연상케 하는 일부 대목이 후기 필사본에서 없어졌는데 되살렸다. 천주학(천주교)에 대한 서술도 천주학 자체가 아니라 모임이 열렸던 건물이나 그 건물 안에 있던 그림에 초점을 맞추는 식으로 바뀐 게 바로잡혔다. 아예 통으로 빠졌던 ‘양매시화’(楊梅詩話), ‘천애결린집’(天涯結隣集)의 글들은 새로 수록됐다. 도판 사진도 새롭게 실렸다. 완전체에 가까운 ‘열하일기’ 번역본이 나온 셈이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요즘 소설이 아니다. 조선시대 최고의 문학 작품으로 평가받는 연암 박지원(1737~1805)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 등장하는 대목이다. ‘열하일기’는 연암이 청나라를 다녀와 쓴 기행문이다. 재기발랄한 글쓰기에 거침이 없었던 연암조차 동성애가 당시 습속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점을 의식한 듯 직접 목격한 게 아니라 전해 들은 형식으로 서술한다. 그런데 그간 일반 독자들은 이 대목을 접하지 못했다. 한문으로 쓰인 ‘열하일기’를 한글로 옮긴 번역본은 지금까지 10여종이 나왔는데 연암 연구가 김혈조 영남대 교수가 최초의 완역본을 표방하며 2009년 돌베개를 통해 선보인 번역본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열하일기’는 시대착오적인 반청 사상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조선이 낙후한 책임을 물어 양반 사대부를 비판한 탓에 시대와의 불화를 겪었다. 그래서 당대에는 제대로 출간된 적이 없고, 후손들과 후학들에 의해 사회적 통념에 배치되는 일부 내용들이 수정되고 삭제된 이본들이 여러 가지 나왔다. 김 교수의 번역은 1932년 박영철본을 바탕으로 삼았는데 이조차 여러 차례 윤색을 거친 것이었다.
그런데 2012년 연암이 직접 쓴 것으로 추정되는 이가원 선생 소장의 초고본과 이를 필사한 초고본 계열이 영인본으로 세상에 공개되며 온전한 ‘열하일기’에 한발 더 다가서는 전기가 마련됐다. 김 교수는 초고본 등을 일일이 비교하며 누락되고 변형된 부분을 바로잡았다. 또 초고본의 글투에 맞게 다시 정리했다. 2009년 출간본의 개정판인 셈인데 따로 책 한 권을 족히 만들 정도인 164쪽이 늘어났다. 연암이 중국의 희귀 성씨를 언급한 부분에서 성적인 내용을 연상케 하는 일부 대목이 후기 필사본에서 없어졌는데 되살렸다. 천주학(천주교)에 대한 서술도 천주학 자체가 아니라 모임이 열렸던 건물이나 그 건물 안에 있던 그림에 초점을 맞추는 식으로 바뀐 게 바로잡혔다. 아예 통으로 빠졌던 ‘양매시화’(楊梅詩話), ‘천애결린집’(天涯結隣集)의 글들은 새로 수록됐다. 도판 사진도 새롭게 실렸다. 완전체에 가까운 ‘열하일기’ 번역본이 나온 셈이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11-11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