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용 혈액 부족 사태가 보통 심각하지 않다. 대한적십자사 등에 따르면 지난해 혈액 적정 보유 일수가 130일에 지나지 않았다. 2015년에 견줘 69일이나 부족했다. 2012년 186일, 2013년 286일, 2015년 199일로 지난 5년 중 지난해가 가장 짧았다. 혈액 적정 보유량인 ‘5일분’을 200일도 유지하지 못한 해가 3년이나 됐다고 한다.
물론 이 같은 지경의 가장 큰 이유는 헌혈자가 줄어든 탓이다. 지난해 헌혈 건수는 286만건으로 전년보다 7%나 감소했다. 지난해 여성 헌혈은 80여만건으로 전년보다 13%나 줄었다. 주로 군에 입대한 남성 병사의 혈액 수급에 크게 의존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헌혈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10·20대 인구 층이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여서 조짐이 심상치 않다. 그나마 지난해 30대 계층의 헌혈이 9% 넘게 증가하면서 최악의 상황은 겨우 면했다. 어제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공동으로 혈액 부족 사태를 막기 위한 비상대응 훈련을 한 것도 심각성을 알리자는 취지에서였을 것이다.
바닥난 혈액 재고를 보면서 언제까지 발만 동동 구를 수는 없는 일이다. 우선 40·50대 중년층을 헌혈 대열로 이끌어 내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지난해 헌혈자는 40대 9%, 50대 3.5%, 60대가 0.6%에 불과했다. 또 헌혈에 대한 괴담과 불신, 즉 ‘헌혈하면 건강이 나빠진다’거나 ‘혈액은 돈 주고 사고판다’는 따위의 인식을 뜯어고쳐야 한다. 혈액 수급이 널뛰기를 하는데도 방치로 일관하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 30%를 밑도는 여성 헌혈자 수를 늘릴 방안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복지부와 대한적십자사의 몫이다.
대한적십자사 회장(옛 총재)을 적십자 본연의 업무와 전혀 상관없는 인사로 내려보내 혈액 부족 사태를 야기한 측면이 컸다. 혈액 사업은 무료로 헌혈을 받고 유료로 판매하는 적십자의 독점 사업이다. 몇 해 전 국정감사에서는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헌혈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사달이 난 적이 있다. 2012년 3월 취임한 유중근 총재가 단 한 차례도 헌혈을 하지 않아 2013, 2014년 국감에서 도마에 올랐다. 그를 이은 김성주 총재도 같은 이유로 구설수에 휘말렸다. 총재도 하지 않는 헌혈을 누가 하겠느냐는 비판이 나온 건 당연했다. 신임 회장은 혈액 사업 독점구조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부터 샅샅이 살피기 바란다.
물론 이 같은 지경의 가장 큰 이유는 헌혈자가 줄어든 탓이다. 지난해 헌혈 건수는 286만건으로 전년보다 7%나 감소했다. 지난해 여성 헌혈은 80여만건으로 전년보다 13%나 줄었다. 주로 군에 입대한 남성 병사의 혈액 수급에 크게 의존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헌혈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10·20대 인구 층이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여서 조짐이 심상치 않다. 그나마 지난해 30대 계층의 헌혈이 9% 넘게 증가하면서 최악의 상황은 겨우 면했다. 어제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공동으로 혈액 부족 사태를 막기 위한 비상대응 훈련을 한 것도 심각성을 알리자는 취지에서였을 것이다.
바닥난 혈액 재고를 보면서 언제까지 발만 동동 구를 수는 없는 일이다. 우선 40·50대 중년층을 헌혈 대열로 이끌어 내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지난해 헌혈자는 40대 9%, 50대 3.5%, 60대가 0.6%에 불과했다. 또 헌혈에 대한 괴담과 불신, 즉 ‘헌혈하면 건강이 나빠진다’거나 ‘혈액은 돈 주고 사고판다’는 따위의 인식을 뜯어고쳐야 한다. 혈액 수급이 널뛰기를 하는데도 방치로 일관하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 30%를 밑도는 여성 헌혈자 수를 늘릴 방안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복지부와 대한적십자사의 몫이다.
대한적십자사 회장(옛 총재)을 적십자 본연의 업무와 전혀 상관없는 인사로 내려보내 혈액 부족 사태를 야기한 측면이 컸다. 혈액 사업은 무료로 헌혈을 받고 유료로 판매하는 적십자의 독점 사업이다. 몇 해 전 국정감사에서는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헌혈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사달이 난 적이 있다. 2012년 3월 취임한 유중근 총재가 단 한 차례도 헌혈을 하지 않아 2013, 2014년 국감에서 도마에 올랐다. 그를 이은 김성주 총재도 같은 이유로 구설수에 휘말렸다. 총재도 하지 않는 헌혈을 누가 하겠느냐는 비판이 나온 건 당연했다. 신임 회장은 혈액 사업 독점구조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부터 샅샅이 살피기 바란다.
2017-09-0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