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피아니스트
19세기 말의 파리는 수다스러웠다. 세상의 거의 모든 문물들이 모여 그것들이 모두 예술의 이름으로 탄생되는 만용을 지켜보았기 때문이다. 어느 곳보다 ‘문화적으로’ 수다스러웠던 셈인데, 이 현상을 조금 다르게 지켜본 사람은 에릭 사티(1866-1925)였다. 흔히 전위 작곡가로 불리지만, 복잡한 듯 단순하게 살았던 사티에 대한 탐험은 모순에 모순을 거듭하는 프랑스식 풍자의 끝에 나타나는 결과물, 즉 ‘침묵’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그의 작품에서 줄곧 발견되는 요소는 일체의 허식이 배제된 단순함, 엄숙주의와 과장의 배제, 간결함과 명쾌함의 추구다. 사티의 예술을 알기 위해서 그의 대표곡인 1888년 작 ‘짐노페디’를 먼저 들어본다. 이 곡은 몽마르트르로 거처를 옮긴 후 그가 친해진 낭만주의 시인 파트리스 콩테미뉘의 시 ‘고대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짐노페디의 뜻은 ‘고대 스파르타에서 젊은이들이 나체로 춤을 추는 의식’이다. 중요한 사실은 이 작품이 프랑스에서 유행하던 가벼운 살롱음악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배제하고 있다는 점과, 일체의 저항을 거부하는 무기력한 음악, 사티 자신이 주장했던 ‘가구음악’(늘 방에 있는 가구처럼 무관심하게 흘려도 되는 음악)의 내용과 맞아떨어진다는 것이다. 1889년 만들어진 ‘그노시엔느’는 동양문화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진다. 고대 그리스의 그노스인(크레타인)을 지칭하는 작품 제목은 사티가 만들어낸 신조어다. 시간과 공간 모두가 멈춰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 곡들은 악보에 마디 구분조차 돼 있지 않으며, 시작과 끝에 대한 구별도 없다. 음은 있지만 침묵이 지배하고 있는 묘한 작풍이다.
작품이 주는 신비스러움과 침묵이 주는 소중함을 깨우쳐 준다는 면에서 사티와 묘하게 닮은 작곡가가 카탈루냐 태생의 페데리코 몸푸(1893-1987)다. 바르셀로나에서 태어나 리세우음악원과 파리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배운 그는 정규교육보다는 독학과 자각으로 자신의 세계를 일군 독특한 인물이다. 몸푸는 어렸을 때 집에서 운영하는 종 만드는 공장에서 일했는데, 그곳의 갖가지 종들이 울려 내는 신비한 음향이 평생의 기억으로 자리잡았다. 피아노 작품이 대부분인 그의 곡들에서는 그래서 깊은 공명을 지닌 종소리들의 잔영이 숨어 있다. 감각적인 화성, 사티처럼 마디줄을 없애 버린 자유로움, 달콤한 멜로디들이 만들어 내는 시적 세계를 한번이라도 접한 사람은 빠져나오기 힘들다. 대표작은 ‘비밀스러운 인상’(1914), 1921년부터 시작하여 생의 마지막까지 만들어진 연작 ‘노래와 춤’ 시리즈 등이 있다. 사티의 음악과 가장 많이 흡사한 곡은 1959년부터 시작해 1967년 완성을 본 ‘침묵의 음악’ 시리즈일 것이다. 모두 네 권의 곡집 안에 28곡이 들어 있는 이 작품집에 대해 몸푸는 직접 이렇게 말했다. “이 음악은 공기나 빛이 없다. 약한 심장박동을 갖고 있으며, 우리의 의식 밖으로 나가려는 데에 관심이 없다. 대신 우리의 영혼 세계의 깊이를 차분히 파고들며, 그것이 주는 감성은 비밀스러운 것이기에 보다 따뜻한 느낌으로 개인에게 전달된다.” ‘절대 고요’ 의 모습으로 그가 전달하려고 했던 것이 무엇인지 시끄러운 세상을 잠시 등지고 조용히 귀 기울이고 싶다.
2017-08-0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