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경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울진 평해읍 남대천 주변 200㏊(갈대·벼), 안동 도산면 의촌리 30㏊(보리·옥수수·벼 등), 경주 현곡면 30㏊(벼·사료작물 등)에서 멸강나방 피해가 발생했다.
이처럼 멸강나방이 기승을 부리는 것는 올 들어 중국 일부 지역에서 멸강나방의 발생량이 전년 대비 9배 많아 진데다 우리나라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적어 멸강나방 산란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해 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멸강나방은 5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중국에서 날아오는 해충으로 농작물 잎에 산란한다. 부화한 애벌레는 옥수수, 목초, 벼 등을 폭식하는 특징이 있어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곽영호 도 농업기술원 기술지원국장은 “멸강나방은 누에가 뽕을 먹는 수준으로 빠르게 볏잎 등을 갉아먹음에 따라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조기에 논과 밭두렁 잡초에까지 방제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 농업기술원은 2015년 전국 처음으로 ‘무인헬기 병해충 119 방제단’ 가동에 들어갔다. 병해충 119방제단은 무인헬기 14대와 조종사 28명으로 구성, 매년 1만 2000㏊를 방제한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