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19 혁명 기록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1894년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당시 조선 정부와 동학 농민군, 농민군의 진압에 참여한 민간인, 일본 공사관 등이 작성한 기록으로 구성된다.
문화재청은 “4·19 혁명 기록물은 개발도상국 가운데 가장 모범적으로 민주화를 이뤄 낸 한국의 정치 사건을 자세히 보여 준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정의와 평등의 가치를 추구했고 전통적 동아시아 질서를 해체하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두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여부는 2019년 열리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 회의에서 결정된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