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서점가에서는 북큐레이션이 화두다. 북큐레이션이란 특정한 주제에 맞춰 책을 선별해 독자에게 제안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큐레이션이라는 개념이 출판과 서점의 영역에도 도입된 것. 열풍의 진원지 일본에서는 북큐레이터라는 직업도 생겼다. 이 책은 일본 최초의 북큐레이터인 하바 요시타카가 북큐레이션을 적용한 공간의 책 이야기와 그의 작업 노하우를 담았다. 하바는 북카페 스타일의 서점을 최초로 도입한 일본 쓰타야 서점 롯폰기점의 북큐레이션을 맡아 화제를 모았다. 이후 전문 회사를 설립해 서점과 도서관 등 전통적으로 책이 있는 공간 외에도 병원, 미용실, 은행 등을 책으로 채우는 작업을 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여행 관련 서적을 모아 놓은 트래블 라이브러리의 북큐레이션에 참여했다.
예를 들어 미용실 체인점 사라의 책장에 꽂힌 80여권 중 대부분의 책은 책등이 아닌 책의 얼굴인 표지가 보이도록 진열됐다. 책장의 칸막이에는 ‘꾸미다’, ‘스타일’ 등 12개의 키워드를 적은 분류판이 있고 주제어에 따라 책이 구성됐다. 장기 입원환자가 많은 재활병원에는 책장을 넘기는 손의 감각을 느낄 수 있는 ‘플립북’(책장을 빠르게 넘기면 마치 그림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책)이나 추억을 자극할 수 있는 사진집 등 환자들의 마음을 열고 재활을 도울 수 있는 책들을 배치했다.
“사람들이 서점에 오지 않는다면 사람이 있는 장소로 책이 가는 수밖에 없다.” 하바는 이 같은 철학으로 북큐레이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책에는 하바가 작업한 100여개의 공간에 대한 정보와 내용을 한눈에 정리한 ‘하바의 작업 일람’도 담겼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