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비밀’을 좋아한다. 아이들에게 비밀은 놀이이며 비밀을 이야기하는 건 ‘우린 친구’라는 의미를 뜻한다. 첫 그림책인 ‘넌 (안) 작아’로 지난해 미국 닥터 수스상을 수상한 강소연 작가의 신작 ‘이건 비밀인데…’는 마치 그림책을 읽는 아이들에게 “내 비밀을 들어줄래”하고 말을 건네는 느낌이다.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그림책 주인공과 교감하도록 이끄는 신선한 구성이 돋보인다.
연못가에서 엄마·아빠 개구리와 함께 살고 있는 주인공 개구리는 책을 읽는 우리에게 “쉿!”하고 풀숲으로 들어간다. 개구리는 우리에게 가까이 오라고 한다. 아마 아이들은 책에 코를 쏙 박을 만큼 얼굴을 개구리에게 가까이 들이밀지 않을까. 왜냐하면 비밀 이야기는 아무도 몰래 혼자 들어야 하니까.
개구리의 비밀은 바로 물이 무서워 헤엄을 치지 못한다는 것. 올챙이 때부터 아무에게도 말 못한, 누가 알까 혼자 전전긍긍한 고민이다. 개구리의 비밀을 알게 된 아이들은 고민을 풀어주기 위해 “개구리야, 걱정 마. 내가 널 응원할게”라고 말하거나, 자기도 개구리처럼 고민이 있다면 마음속 비밀 이야기를 건넬지도 모른다.
개구리 친구와 함께 고민을 나누고, 서로 두려움을 이겨낼 용기를 가지면서 그렇게 아이들은 한 뼘 더 자라나지 않을까. 강 작가는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에 관심을 두고 그림책을 만들어 왔다. 미국 뉴저지에서 살고 있는 강 작가와 시사만화가로 ‘더 뉴요커’ 잡지에 카툰을 연재 중인 남편 크리스토퍼 와이엔트가 함께 만든 그림책. 5세 이상.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8-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