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체불임금 급증하고, 세수 반토막…조선업 지역경제 ‘벼랑끝’

체불임금 급증하고, 세수 반토막…조선업 지역경제 ‘벼랑끝’

입력 2016-04-27 08:53
업데이트 2016-04-27 0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울산동구·거제·영암, 구조조정 본격화시 지역경제 더욱 추락

조선업종에 의존하는 지역의 경제가 벼랑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조선 호황으로 한때 전성기를 누린 울산 동구, 거제, 전남 영암의 경제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위기가 계속됐지만 조선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한 치 앞을 볼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한숨을 쉰다.

◇ 현대중공업 소재 울산 동구…인구 감소·기업 소득세 반토막

조선업 왕국으로 군림하던 이곳 상가가 얼어붙었다. 3년 전부터 조선 불황이 닥치면서 대부분 근로자가 사내식당을 이용하고, 회사의 회식이 줄면서 소비가 크게 감소한 탓이다.

200여 곳에 이르는 지역 유흥·단란주점이 먼저 타격을 받았다. 2014년과 2015년 9곳과 11곳이 잇따라 문을 닫았다.

폐업하는 일반음식점은 최근 3년에 매년 130∼150여 곳이었다. 한편으로는 실직자 등에 의해 매년 200∼220여 곳이 새로 문을 연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도 감소 추세다. 2014년 3월 17만8천200여 명에서 2015년 3월 17만6천400여 명, 올해 3월 17만5천여 명으로 줄었다.

기업의 세금 납부액은 반토막 났다.

조선업 위기 직전인 2013년에 현대중공업이 납부한 지방소득세는 525억원에 달했지만 2014년 255억원, 지난해 217억원으로 감소했다.

현대미포조선도 2013년 36억원이던 지방소득세가 2015년 28억원으로 줄었다.

기업이 위기를 맞자 실업률은 높아졌다. 지난해 울산 실업률은 2.9%(1만7천명)로 전년 대비 0.2% 포인트 올라갔다.

체불임금도 크게 늘었다.

2015년 울산의 체불 사업장은 2천758개, 체불액 357억8천만원, 피해 근로자 8천100여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4년 2천509개, 222억6천만원, 6천100명에 비해 각각 9.9%, 60.7%, 32.8% 증가한 것이다.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관계자는 “가장 큰 체불 원인은 조선 경기가 나빠지면서 관련 중소업체가 도산하거나 폐업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동구에는 현대중공업그룹사인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있다.

현대중공업 근로자 2만7천여 명, 사내협력사 300여 곳의 3만2천여 명, 현대미포조선 근로자 3천600여 명, 사내협력사 70여개 사 6천800여 명이 일한다.

조선소에서 일하는 사람이 7만명 가량이다. 동구 인구가 17만여 명인 점을 감안할 때 대부분이 조선업종과 관련이 있는 셈이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전체 인원 2만7천여 명 중 10% 이상을 희망퇴직이나 권고사직 형식으로 줄이는 내용의 구조조정 방안을 조만간 실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더 심각한 것은 사내협력사 근로자 절반 이상(2만여 명)이 몰린 해양플랜트 사업이다. 2014년 말부터 수주가 한 건도 없어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특히 올해 하반기에는 이미 수주한 8개 공사 가운데 3개가 끝나기 때문에 원청과 계약 해지되는 사내협력사와 근로자도 5천명 안팎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거제, ‘위기’ 엄습…경제지표는 아직 ‘양호’

거제는 조선업 침체에 따른 ‘2만여 명 감원’ 예고라는 현실적인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그러나 각종 경제지표는 위기가 아직 반영되지 않아 양호한 상태다.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지표도 반전될 것으로 전망한다.

거제시 등 자료에 따르면 음식점과 인구는 늘었다. 새로 문을 연 일반음식점은 지난해 3월 92곳에서 1년 만인 지난 3월 118곳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 폐업한 일반음식점은 1곳뿐이다. 거제에서 영업하는 일반음식점은 지난해 3월 3천621곳에서 1년 만에 3천819곳으로 늘었다.

2011년 이후 거제시 인구도 해마다 1천명 가까이 늘고 있다. 2011년 24만1천711명, 2012년 24만5천972명, 2013년 25만3천349명, 2014년 26만2천11명, 지난해 27만879명, 올해 3월말 27만1천598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지방 세수도 2천억원 안팎으로 비교적 많았다. 2012년 1천832억원(징수 1천753억원)이 부과된데 이어 2013년 1천692억원(징수 1천610억원), 2014년 2천13억원(징수 2천11억원), 지난해 2천113억원(징수 2천1억원)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2010년과 2011년 각 1.3%, 2012년과 2013년 각 1%, 2014년은 1.8%로 5년 연속 1%대를 유지했다.

올해 3월 말 현재 대우조선해양 사내 협력업체와 종사자는 187개사에 3만1천727명, 삼성중공업은 144개 사에 2만6천403명이다.

그러나 신규 수주가 없어 연내 2만여 명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 등은 인력 감축을 포함한 대대적인 구조조정 방안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제시 관계자는 “오는 6월 대우조선 도크가 비는 것을 시작으로 조선업계의 대규모 감원이 진행된다”며 “이 시기에 물량팀이 대량으로 실직, 지역 경기가 급격하게 얼어붙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어느 정도일지 예견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삼성중공업도 수주 잔량이 올 연말께 마무리되기 때문에 고강도 구조조정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역 조선업의 추락이 현실화하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태다. 지방자치단체는 정부의 대책을 지켜볼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거제시는 조선업 불황에 따른 경제 위축이 우려되자 상반기 예정한 3천600억원의 재정집행률을 최대한 높이기로 했다.

◇ 영암 대불산단 생산·수출·고용 3개 지표 ‘동반추락’

전라남도 영암의 대불산단에는 현대삼호중공업에 선박블록 등 조선 기자재를 납품하는 업체 등 300여 곳의 기업(고용인력 1만1천여 명)이 모여 있다.

이중 80%인 240개가 조선업체로 고용인력은 7천여 명에 달한다.

대불산단 업체들의 생산액은 2014년 3조659억원에서 지난해 3조383억원으로 줄었다.

수출도 2014년 12억3천만 달러에서 2015년 7억5천만 달러로 크게 감소했고, 고용은 2014년 1만2천명에서 지난해 1만1천여 명으로 1만여 명 줄었다.

생산·수출·고용 모두 조선업종 불황이 시작된 2013년을 기점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대불산단 배후도시 역할을 하는 인구 2만2천여 명의 영암군 삼호읍에는 500여 곳의 음식점이 있으나 당장 불경기 여파는 미치지 않고 있다. 삼호읍 인구도 1년 전과 큰 차이 없다.

영암군 관계자는 그러나 “2013년을 기점으로 조선업종 불황이 시작되면서 지역경제에도 여파가 누적되고 있다”며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시작되면 기업 도산, 고용 감소 등 심각한 사태가 예견된다”고 말했다.

영암군의 세수는 조선 불경기를 여실히 반영했다.

현대삼호중공업과 사내협력사들로부터 받은 세금은 2013년 153억8천만원에서 2014년 75억1천만원으로 반토막 났고, 2015년에는 96억2천만원이었다.

체불임금은 3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영암군과 해남군을 포함한 목포고용노동지청 관할 전남 서남권 1개 시 8개 군 사업장의 체불액은 2013년 123억7천900만원(3천513명), 2014년 129억6천만원(3천547명), 2015년 166억7천300만원(4천410명)으로 늘었다.

노동지청 관계자는 “체불임금 증가는 조선업 불경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형 조선소는 영암 현대삼호중공업과 해남 대한조선 등이 대표적이다.

영암 현대삼호중공업에서는 정규직 4천300여 명, 사내협력사 70여개 사 9천여 명이 일한다.

또 현대삼호중 인근 대불산단에는 사외에서 선박블록을 납품하는 조선기자재 업체 240여 곳에서 7천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들 회사 관계자는 향후 인력 감축 폭에 대해 “구조조정에 대한 회사, 정부, 금융기관 등의 지침이 나와야 알겠지만 현재로서는 폭이 상당히 클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