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욱동 창문을 열며] 알파고의 도전과 인간의 응전

[김욱동 창문을 열며] 알파고의 도전과 인간의 응전

입력 2016-04-24 18:18
업데이트 2016-04-24 18: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욱동 문학평론가·UNIST 초빙교수
김욱동 문학평론가·UNIST 초빙교수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결은 인류 역사에서 그야말로 획기적이고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지금껏 인간은 직관과 추론이 자신의 고유 능력이라고 오만하게 생각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서양에서 근대 철학과 과학이 발달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한 르네 데카르트는 ‘코기토, 에르고 숨’, 즉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는 명제를 내세우면서 사유(思惟)에서 인간의 특성을 찾지 않았던가. 또 블레즈 파스칼도 “인간은 자연에서 가장 연약한 것, 한낱 갈대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는 생각하는 갈대다”라고 말하면서 인간의 존엄성은 다름 아닌 사유 안에 있다고 지적하지 않았던가.

그러나 지난달 이세돌 기사와 알파고의 바둑 대국을 지켜보면서 사유가 이제 더이상 인간의 고유 기능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 누가 뭐래도 인류는 이제 새로운 역사의 전환점에 서 있음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알파고 같은 로봇이나 인공지능의 도전에 인간은 어떻게 응전해야 할까. 나는 그 답을 문학을 비롯한 예술, 좀더 범위를 넓혀 인문학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상력이 빚어내는 찬란한 우주라고 할 문학과 예술만이 인간 지능을 앞설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도 인간처럼 직관, 추론, 인식, 의식, 자각, 의지 같은 능력을 담당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감성은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고유한 능력이다.

인간은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과 달리 희로애락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슬픈 모습을 보면 눈물을 흘리고, 불의를 보면 분노를 느끼며, 아름다운 풍경을 바라보면 절로 입이 벌어지며 감탄사를 내뱉는다. 그런데 요즈음 디지털 기기가 범람하면서 안타깝게도 인간의 감성이 로봇처럼 점점 더 메말라 가고 있다. 젊은이들은 갑자기 놀라거나 어떤 충격적인 일을 당하면 “헐, 대박!” 하고 말하기 일쑤다. 짧은 이 한마디 말로 젊은이들은 모든 감정을 표현하려 든다.

생물학적 결정론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인간의 두뇌는 우뇌와 좌뇌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언어 뇌라고도 일컫는 좌뇌는 언어중추가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좌뇌가 발달하면 언어구사 능력, 문자나 숫자, 기호의 이해, 조리에 맞는 사고 등 분석적이고 논리적이며 합리적인 능력이 뛰어나다. 한편 이미지 뇌로도 부르는 우뇌는 그림이나 음악 감상, 스포츠 활동 등 순간적으로 상황을 파악하는 직관 같은 감각적인 분야를 담당한다.

로봇이나 인공지능은 비록 인간의 우뇌 영역을 대신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좌뇌 영역을 넘볼 수는 없다. 그렇다면 인간은 이제 우뇌 쪽보다는 그동안 소홀히 했던 좌뇌 쪽에 무게를 실어야 한다. 좌뇌를 발달시키려면 무엇보다도 문학 작품을 많이 읽고 음악과 미술 같은 예술과 가까이해야 한다. 요즈음 젊은이들에게 레프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를 읽어 봤느냐고 물어보면 ‘전쟁’은 읽었는데 ‘평화’는 아직 읽지 못했다고 대답하기도 한다. ‘한여름 밤의 꿈’에 대해 이야기하면 ‘한여름 밤의 꿀’이 아니냐고 반문하는 젊은이들도 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몰라도 남녀 듀엣 San E와 레이나에 대해서는 훤히 꿰고 있는 것이 요즈음 젊은이들의 자화상이다.

이렇게 인간의 감성과 직관을 좀더 발전시키지 않고서는 인간은 한낱 로봇이나 인공지능의 수준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다. 더 늦기 전에 우리는 젊은이들에게 문학과 예술의 중요성을 가르쳐야 한다. 문학과 예술만이 메마를 대로 메말라진 인간의 감성을 봄비처럼 촉촉하게 적셔 주고, 돌덩어리처럼 딱딱하게 굳어진 직관을 우뭇가사리처럼 부드럽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러고 보니 알파고의 도전에 직면해 문학과 예술 그리고 인문학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새삼 중요하게 부각됐다. 문학과 예술을 비롯한 인문학은 그동안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에 밀려 거의 빈사 상태에 놓여 있다. 하루빨리 정신 차리지 않으면 지난달 바둑 대국처럼 인간은 알파고에게 언제 또다시 무릎을 꿇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문학평론가·UNIST 초빙교수
2016-04-25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