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3년 전 수장고에서 사자상 확인하고도 외부에 안 알려

국립중앙박물관, 3년 전 수장고에서 사자상 확인하고도 외부에 안 알려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3-16 19:06
수정 2016-03-16 19: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중앙박물관은 2013년 강원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사자상의 실체를 확인하고서도 3년간 외부에 공개하지 않았다. 미술·석조문화재 최고 권위자들조차 사자상이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도난당해 국내에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 학계에 미칠 충격도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6월 발간된 중앙박물관 정기간행물 ‘미술자료’ 제87호에 실린 논문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에 대한 기초적 검토-이전 건립 경과 및 보존처리 내용을 중심으로’(이하 ‘논문’)에는 ‘사자상은 한국전쟁 당시 폭격에도 불구하고 4개체가 모두 남아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13년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와 3D 스캔을 한 사자상은 4개체로 구성돼 있으며 이 중 표면 풍화 상태가 심한 3개체의 사자상에 대한 세부 형상을 확인하였다’고 적혀 있다. 4개의 사자상은 크기와 무게가 다 다르다. 가장 큰 사자상은 가로 45㎝, 세로 25.5㎝이고 제일 작은 건 가로 28.5㎝, 세로 21.4㎝다. 무게는 24.8㎏부터 36.3㎏까지 다양하다. 이 ‘논문’으로 국내에서 수십 년간 자취를 감췄던 사자상이 그 존재를 드러내게 됐지만 박물관 내 일부 관계자들 외에는 이 사실을 아무도 모른다.

 1962년 문화재 전문위원 1호로 위촉된 ‘미술·석조문화재 대부’ 정영호 단국대 석좌교수는 “사자상은 일제강점기 일본 사람들이 지광국사부도(탑)를 해체해 일본으로 가져간 이후 행방을 알 길이 없다”면서 “일본 어딘가에 있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그는 “일제강점기 사자상을 본 사람 중 살아 있는 사람이 누가 있느냐. 사자상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 사자상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복원을 하느냐”고 덧붙였다. 또 다른 미술·석조문화재 권위자인 소재구 전 해양연구소장도 “일제강점기 사진에 보면 사자상이 있는데 중간에 사라졌다. 일본으로 반출됐는지, 언제 어떻게 없어졌는지도 모른다. 탑 복원 때 사자상도 원칙적으로 복원해야 하지만 근거가 없기 때문에 복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광국사탑은 고려 문종 때 국사(國師)를 지냈던 지광(984~1067) 국사의 사리탑으로, 1085년 법천사에 건립됐다. 지광국사탑은 한국 문화재 수난사를 대표하는 탑으로 일컬어진다. 당초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국보 제59호)와 함께 원주 법천사 터에 있었지만 일제강점기인 1911년 일본인에 의해 해체돼 서울로 옮겨졌다가 1912년 일본 오사카로 반출됐다. 1915년 조선총독부 명령으로 한국으로 돌아왔다. 1990년 현재 위치인 경복궁 경내 국립고궁박물관 앞뜰에 세워지기까지 최소 9차례 옮겨 다녔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폭격을 맞아 상륜부가 1만 2000조각으로 산산이 부서졌고 1957년 시멘트 등 다양한 재료로 복원됐다. 최근 정기조사와 정밀안전진단 등 점검 결과 다수의 균열과 시멘트 복원 부위 탈락 등이 확인돼 전면 해체, 보존처리하기로 결정됐다. 문화재청은 오는 22일 탑 해체 공사 보고식을 갖고 다음달 2일까지 전체 부재를 해체한 뒤 6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로 이송할 계획이다.

사자상은 언제, 어떻게 사라진 걸까. ‘논문’에 따르면 사자상은 1932년 탑 해체 및 재건립 때까진 존재했지만 한국전쟁 당시 탑 상륜부가 파괴된 이후 감쪽같이 사라졌다. 중앙박물관 관계자는 “57년 탑 복원 때 야외에 노출돼 있으면 도난 위험도 있고 사자상을 받치는 탑 부재도 약해 사자상을 떼어내 박물관 수장고로 옮겼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57년 탑 복원 현장에 있었던 이들 중 유일한 생존자인 정 교수는 “파손된 상륜부 1만 2000조각을 모아 복원에 관여했던 임천·양철수 선생은 돌아가신 지 오래됐고 복원 감독을 했던 황수영 은사께서도 돌아가신 지 5년 됐다. 이젠 나밖에 없다”면서 “나도 당시 사자상을 본 적이 없는데 일제강점기에 사라진 사자상을 누가 봤겠느냐”고 반문했다.

전문가들도 일제강점기에 도난당해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는 지광국사탑 사자상이 중앙박물관 수장고에 수십 년간 묻혀 있었다는 건 과학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한 문화재 관리의 난맥상을 여실히 보여 준다. 문화재 관계자들은 “중앙박물관 수장고에는 유물이 엄청 많은데 수장고 내에 어떤 유물이 있는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