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여론조사로 후보 뽑는다는데…신뢰도 보완책이 과제

여론조사로 후보 뽑는다는데…신뢰도 보완책이 과제

입력 2016-01-31 10:20
업데이트 2016-01-31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다대표·낮은 응답률로 표심 왜곡 현상 발생

새누리당이 20대 총선에서 상향식 공천을 적용하기로 하면서 여론조사 경선시 불거질 공정성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내리고 있다.

비용과 장소, 시간문제 등 여건상 어려운 선거인단 직접경선보다는 여론조사 경선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경선불복 사태 등을 막기 위해선 여론조사의 공정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31일 여론조사 경선의 단골 문제로 표본의 대표성과 저조한 응답률에 따른 표심 왜곡 현상을 꼽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1천명을 조사할 때 연령별로 같은 수의 표본을 조사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20대의 경우 50∼60대보다 응답률이 현저히 떨어져 대표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여론조사 업체에선 이를 보완하기 위해 20대 유권자 200명의 답을 얻어야 하는데 20명밖에 응답하지 않았다면 가중치 10배를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경우 전체적으로 통계 왜곡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론조사는 처음 전화를 걸었을 때 응답률이 15%밖에 되지 않고, 응답률이 낮은 20∼30대는 가중치를 적용하는 데 이 비율에 따라 표가 왜곡될 수 있다”고 말했다.

동원된 50∼60대 유권자가 20대라고 속여 응답하는 문제점도 불거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여론조사에 응하는 사람들은 결국 조직표다. 민의왜곡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며 “‘50대인데 20대라고 답하라’고 했다는 식의 의혹이 일고 있다. 여론조사는 참고자료일 뿐 짧은 기간 몇 번의 여론조사로 경선하는 것을 국민 참여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은 이런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사가 휴대전화 가입자에게 가상의 임시번호를 부여하는 안심번호를 사용하겠다고 나섰지만, 이마저도 고지서 주소와 실제 거주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2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는 등 문제점은 여전하다.

또 집전화 여론조사는 젊은 층의 응답률이 떨어지는 반면 휴대전화 안심번호는 노년층의 답변이 저조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도 있다.

때문에 김 교수는 “20∼30대의 접근성이 높은 휴대전화 안심번호 조사와 50∼60대의 응답률이 높은 유선전화 조사를 적절히 조합해야지 어느 한 쪽만 택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실제 투표시 동일하지 않은 세대별 투표율을 여론조사에선 반영하지 못하는 점이나 다른 당 지지자의 역선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여론조사의 ‘함정’으로 지적된다.

여론조사는 세대별 투표율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연령별로 같은 표본 수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지만, 실제 투표에서는 세대별 투표율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여론조사 결과의 편차가 벌어질 가능성도 그만큼 커진다.

김 교수는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지지자들이 새누리당 지지자인 것처럼 속이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며 “다른 당 지지자를 필터링하지 않으면 민심 왜곡이 올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전화번호 착신 전환을 통해 여론조사를 조작할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해 신뢰도 문제에 따른 경선 불복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하지만, 당 차원에서는 표 왜곡을 막을 이렇다 할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대면조사나 철저한 모니터링, 과학적인 조사기법 개발 등이 대안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신 교수는 “여론조사는 장기간 반복 조사를 통해 추이를 보기 위한 것일 뿐 경선에는 적합하지 않다”며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여론조사로 후보를 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