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균미의 빅! 아이디어] 이웃을 팝니다

[김균미의 빅! 아이디어] 이웃을 팝니다

김균미 기자
입력 2016-01-26 22:40
업데이트 2016-01-27 15: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주말 얼마 전 종영한 드라마 ‘응답하라 1988’ 재방송을 봤다. 한 번 봤던 드라마이지만 지루한 줄 모르고 봤다. 이 드라마를 보고 있으면 가슴이 따뜻해진다. 여자 주인공 덕선의 미래 남편 알아맞히기도 흥미롭지만, 이제는 자취를 감춘 서울 도봉구 쌍문동 골목의 가족보다 가까운 이웃들의 정이 브라운관 너머로 전달된다.

이미지 확대
김균미 편집국 부국장
김균미 편집국 부국장
골목 이웃들의 사랑방 역할을 하는 집 앞 평상도 부럽고, 옆집에서 보내온 음식 접시를 빈 채로 돌려보내지 않고 상추든, 김이든, 뭐든 담아 되돌려 주는 인심과 정이 부럽다. 옆집 아이 점심·저녁을 챙기고, 일 나가는 앞집 엄마가 걱정하지 않게 어린 딸을 밤늦도록 돌봐 주는 이웃들이다. 정말 저런 이웃들이 있었나 싶어 주위에 물어보니 의외로 골목 친구들에 대한 추억을 갖고 있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요즘도 그런지 모르겠지만,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이사를 가면 이웃들에게 떡을 돌리곤 했다. 물론 전셋집이 아니라 어렵게 마련한 자기 집에 이사 가는 경우였지만. 낯선 사람에게 좀처럼 문을 열어 주지 않는 아파트 이웃이지만, 새로 이사 왔다며 내미는 떡 접시를 반갑게 받아 주고, 심지어 접시에 귤을 담아 줄 때면 ‘정말 이사 한번 잘왔다’며 손뼉을 쳤던 기억이 새롭다. 그런데 최근 5~6년 사이에는 이웃에서 돌린 떡을 받아 본 적이 없다. 아침 일찍 출근해서 그럴 수도 있겠고, 전세를 사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럴 수도 있고, 이웃과의 교류 자체가 사라져서 그럴 수도 있겠다 싶다.

현안들이 수두룩한데 한가하게 웬 ‘이웃 타령’이냐고 타박할 수도 있겠지만 최근 신문과 방송을 도배질하는 뉴스들을 보면 갑갑해서 그렇다. 부모와 자식 간, 부부 간, 선생과 학생 간, 이웃 간 무너진 관계가 빚어낸 참담한 사건들이 셀 수도 없다.

전문가들은 팽배한 개인주의와 과도한 경쟁이 낳은 관계의 단절, 사회 전체의 병리 현상으로 진단하곤 한다. 가족의 복원과 사회안전망 구축, 지역사회의 지원 등을 대책으로 내놓는다. 26일 정부가 내놓은 아동학대 방지 대책 중 이웃의 신고를 독려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을 놓고 일부에서는 독일과 미국 등에서 노인이 하루 종일 현관 앞 의자에 앉아 거리를 주시하거나, 창문 너머로 이웃을 감시하다 수상한 사람이 나타나면 신고하는 감시 사회로 가자는 것이냐고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대책의 목표는 감시 사회가 아니라 무관심한 이웃보다 최소한의 관심을 갖는 이웃사촌에 있다고 보고 싶다.

새로운 관계를 맺거나 좋았던 과거의 관계를 복원하기는 쉽지 않다.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이웃, 마을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움직임이 곳곳에서 일고 있다. 해답이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응팔’의 쌍문동 골목 이웃처럼 앞집의 숟가락이 몇 개인지 아는 그런 이웃까지는 아니더라도 급할 때 손을 내밀 수 있는 이웃부터 만들어 나가자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공동 육아와 교육, 노인 돌봄 같은 이웃 간 신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웃 개념도 진화한다. 맞벌이가 늘면서 1년 내내 아파트 앞집, 옆집 주민과 한번도 맞닥뜨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2년마다 이사를 가는 전세 인생에 진득하니 한 곳에 눌러 살며 자녀를 키우기란 쉽지 않다. 옆집이라는 물리적 개념의 이웃이 비현실적인 이유다. 그래도 이웃은 필요하다.

앞·옆집 이웃과 인사를 하는 것부터 시작하자. 자녀의 학교·학원 친구, 교회·성당·법당 등 교우에게, 동호인 동료들로 이웃 관계를 넓혀 나가자. 정부는 주민센터를 복지센터로 바꿔 나간다는 계획이다. 명칭이야 무엇이 됐든 광의의 이웃들이 쉽게 모여 함께 보낼 수 있는 장소가 많아져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마을 공동체 사업도 지속돼야 한다. 중앙정부는 마을기업 등 일자리 차원뿐 아니라 성과가 더뎌도 이웃 관계 회복 차원에서 지원을 늘리고 성공 사례를 공유해 나가야 한다.

‘이웃을 삽니다’, ‘어디 좋은 이웃 없나요?’가 아니라 ‘이웃을 팝니다’, ‘믿을 만한 이웃이 돼 드리겠습니다’가 먼저다.
2016-01-27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