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살자 93% 신호 보냈지만… 가족 81%는 몰랐다

자살자 93% 신호 보냈지만… 가족 81%는 몰랐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01-26 22:54
업데이트 2016-01-26 2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체중 감소·눈물·짜증 등 ‘경고’

여느 날과 다르지 않은 아침이었다. 평소처럼 밥상을 차리고 심명자(49)씨가 남편을 찾았을 때, 남편은 이미 새벽에 집을 나서 뒷산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상태였다. 유서에는 “너무 힘들다”는 말을 남겼다. 남편이 극단적 선택을 할 것이라고 심씨는 전혀 예상치 못했다. 남편은 주로 자기 방에서 지냈고 주변 일을 시시콜콜 말하는 스타일이 아니라 평소 소통도 거의 없었다. 남편은 사망하기 전날 부인과 아이들과 뜬금없이 사진을 찍고서 휴대전화로 자신의 사진도 찍었다. “나중에 생각해 보니 영정 사진 삼으려고 한 것 같았다”고 심씨는 말했다. 심씨는 “돌이켜 보니 남편은 갑자기 힘들어 모진 선택을 한 게 아니라, 쭉 힘들어했다”며 “서로 어루만져줬으면 좋았을 텐데, 장애가 있는 아이 키우기가 어려워 그러지 못했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이미지 확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 10명 가운데 9명은 사망 전 자살할 의도가 있음을 드러냈지만, 유가족의 81.0%는 이를 인지하지 못해 적절한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전 88.4%는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고 이 가운데 74.8%가 우울 장애를 앓고 있었으나 사망 직전까지 꾸준히 우울증 치료를 받은 사람은 15.0%에 불과했다.

가족은 물론 심지어 자신조차 인지하지 못한 문제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7만 4000여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보건복지부 중앙심리부검센터는 26일 서울 중구 연세재단 세브란스빌딩에서 ‘2015년 심리부검 결과보고회’를 갖고 자살자 121명의 유가족(151명)을 면담한 심리부검 결과를 발표했다. 심리부검 대상자는 20세 이상이며 2012~2015년에 사망한 사람들이다.

심리부검 결과 사망자의 93.4%는 언어·행동·정서 변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 신호를 보냈다. 말과 글로 죽음을 언급하거나 “허리가 아프다”, “소화가 안된다”는 등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했다. 다른 사람의 자살 관련 기사를 일부러 검색해 정독하기도 했다.

또 집중력이 떨어져 회사에서 자주 실수를 하고, 말수가 줄면서 사람을 피했다. 심씨의 남편처럼 가족과 사진을 찍기도 하고, 갑작스럽게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백종우 중앙심리부검센터 부센터장은 “50대는 우울감을 잘 표현하지 않아 자살 경고 신호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며 “이전과 다른 행동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정신의료기관에 도움을 청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유가족 상당수는 심리부검 과정에서야 생전 고인의 행동이 자살 경고 신호였음을 알아차렸다. 우울증은 우울감 등 정신적 문제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소화기 증상 등 신체적 문제로 표출되기도 한다. 자살자가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지한 19.0%의 유가족도 사망자 생존 당시에는 설마 우울증이 자살로 이어지리라 생각하지 못했다.

자살 사망자의 28.1%는 자살을 시도하거나 자살로 사망한 가족이 있었다. 가족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자살을 시도한 경험 때문에 힘들어 했던 것이다.

사망 당시 음주 상태인 자살자는 39.7%였으며, 과다음주로 대인관계 갈등이나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가 있었던 사람은 25.6%였다. 53.7%는 가족이 알코올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자살을 예방하려면 고위험 음주에 대해서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복지부는 “자살자 유가족에 대한 적극적인 심리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다음달 범정부 차원의 정신건강증진종합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1-27 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