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온라인) 사우디 안팎에서 불만 고조 - 실세인 빈 살만 부왕세자에 비난 집중

(온라인) 사우디 안팎에서 불만 고조 - 실세인 빈 살만 부왕세자에 비난 집중

오상도 기자
입력 2016-01-22 08:55
업데이트 2016-01-22 08: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1월, 왕정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압둘라 국왕이 서거했을 때 전 세계의 관심은 새 국왕이 아닌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30) 부왕세자에게 쏠렸다.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80) 새 국왕이 조카인 무함마드 빈 나에프(56) 내무장관을 왕세자에 책봉했으나 모든 권력이 조만간 빈 살만 왕자에게 쏠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1년이 지난 현재 이 같은 예측은 그대로 들어맞았다. 주변 아랍국들은 빈 나에프 왕세자가 아닌 빈 살만 부왕세자를 후임 국왕 1순위로 꼽고 있다. 마치 압둘라 국왕 타계 직후 형의 뒤를 이어 즉위한 살만 국왕이 배다른 동생인 무크린 빈(70) 당시 왕세제를 물러나게 한 것과 같은 이치다. 실세에게 권력이 집중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살만 국왕은 빈 살만 부왕세자의 후계 구도를 차분히 다지고 있다. 2011년부터 자신이 맡아온 국방장관 자리를 아들에게 물려준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빈 살만 왕자는 국영석유회사를 감독하는 기관의 수장을 맡는 등 경제·금융을 좌지우지하는 막대한 권력도 쥐고 있다. 최근 사우디를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공항에서 영접한 사람도 빈 살만 왕자였다.

 AP통신과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외신들은 빈 살만 왕자의 부상에 남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사우디는 2대 국왕부터 7대째인 살만 국왕까지 6명이 모두 초대 압둘아지즈 국왕의 자식들이다. 현 국왕의 조카인 빈 나에프 왕세자와 아들인 빈 살만 부왕세자는 3세대라 할 수 있다. 이들이 추구하는 정책 변화가 향후 사우디의 국운을 좌우하게 된다.

외신들은 빈 살만 왕자의 전면 등장으로, 조용한 외교 노선을 걷던 사우디가 예측하기 힘들고 불안정한 노선으로 변화했다고 지적했다. 국민들도 적잖은 충격을 받고 있다.

 아버지인 살만 국왕과 함께 이슬람 수니파 근본주의 노선을 고수하는 빈 살만 왕자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한다. 그는 국방장관을 겸하면서 석유와 경제개발, 교육 등을 관리·감독하는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책임자 자리까지 겸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석유부 산하에 있던 국영석유회사 아람코가 빈 살만 왕자의 손에 들어왔다. 사우디의 석유 정책에 빈 살만 왕자의 입김이 반영되는 구조다. 사우디가 주도하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 증산 거부와 국제 유가 폭락도 결국 그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웃 예멘의 시아파 반군을 견제하기 위한 내전 개입도 국방장관인 빈 살만 왕자가 주도했다. 그는 시아파의 맹주인 이란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만나 담판도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빈 살만 왕자의 영향력은 사우디 내부에서 급격한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재정 개혁에 깊숙이 관여하면서 국내 휘발유가 인상과 세수 확대가 일으킨 국민적 불만이 빈 살만 왕자에게 쏠리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왕족이 주류를 이루는 권력 심층부에서 불화설은 물론 쿠데타설까지 낳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독일의 연방정보국은 빈 살만 왕자가 주도하는 대내외 정책들이 우호국과의 관계를 해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은 동시에 일자리 창출과 정비가 시급한 사우디에서 청년층의 분노를 폭발시켰고, 수니파 무슬림 젊은이들이 이슬람국가(IS) 등 과격단체에 가입하도록 부추기고 있다고 외신들은 분석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