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경제 CEO 2016 인터뷰] <13>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

[한국경제 CEO 2016 인터뷰] <13>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6-01-19 22:48
업데이트 2016-01-19 2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쟁은 무기 아닌 투혼으로 치러…1위 출혈 경쟁보다 내실 다질 것”

“손자병법에서 손빈은 ‘갑옷의 견고함이 병사를 이롭게 하나 강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전쟁은 무기가 아니라 투혼으로 치른다’라고 말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사람의 의지와 마음가짐입니다.”

이미지 확대
조만간 출범할 미래에셋대우증권(가칭)에 업계 1위를 넘겨주게 된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은 무리한 외형 경쟁은 하지 않겠다고 했다.  NH투자증권 제공
조만간 출범할 미래에셋대우증권(가칭)에 업계 1위를 넘겨주게 된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은 무리한 외형 경쟁은 하지 않겠다고 했다.

NH투자증권 제공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은 마음가짐을 새롭게 할 때는 고사성어를 종종 인용한다. 2013년 NH투자증권의 전신인 우리투자증권 사장으로 취임할 때는 단료투천(簞?投川·장수가 병사들과 강물에 푼 막걸리를 나눠 마시며 고락을 함께함)의 자세를 밝혔고, 지난해 신년사 때는 회사후소(繪事後素·그림을 잘 그리려면 흰 바탕이 우선)로 초심을 강조했다. 19일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한 김 사장은 올해도 고사성어를 통해 자신과 임직원의 분발을 주문했다.

우투증권 합병을 통해 지난해 자기자본(4조 6044억원)과 총자산(43조 310억원), 인력(3025명) 등에서 업계 1위의 프리미엄을 누린 NH투자증권은 미래에셋의 대우증권 인수 작업이 끝나면 1년 만에 자리를 넘겨야 한다. 하지만 김 사장은 “무리한 외형 경쟁은 하지 않을 것”이라며 “올해는 수익 증대와 비용 절감 등 내실을 강화해 업계를 선도하겠다”고 자신했다.

김 사장은 “증권업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은 불황이 아니라 고객 신뢰 상실”이라며 “고객 중심 영업 모델을 완성해 신뢰 회복과 자산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디지털고객본부를 신설해 온라인 고객을 끌어모으고, 헤지펀드와 사모펀드에 집중해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로보어드바이저(Robo advisor·자동자산관리시스템) 등 핀테크(Fintech·금융+IT)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인터넷은행 예비 인가를 받지 못해 아쉽지만 준비 과정에서 나온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핀테크 금융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겠다”며 “이미 크라우드펀딩 선두 업체인 와디즈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고 앞으로도 다양한 정보통신기술 업체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할 작정”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우투증권 시절 설립된 100세시대연구소를 NH투자증권에서도 그대로 계승하는 등 노후 준비와 실버산업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서울대와 함께 진행하는 100세시대 인생대학은 7기 수강생을 배출했고, 지난해에는 서울 여의도 사옥 지하 1~7층에 ‘100세 건강 계단’을 설치하는 등 직원들의 건강도 챙기고 있다.

김 사장은 “고령화와 100세 시대는 금융권을 넘어 사회 전체의 관심사가 된 지 오래고, 시대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영업전략과 비즈니스 모델은 회사의 수익 차원을 넘어 존립 자체를 흔들 수 있는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체 개발한 연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하는 간접형 연금저축 펀드를 1분기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목돈 마련용 절세상품인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도 준비 중이다. 농협그룹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선 “은행 및 생명 등 계열사 간 소개 영업과 연계상품 개발을 강화하고 수도권과 부산에 집중된 복합점포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NH투자증권의 풍부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농협 계열사가 추진 중인 해외 진출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6-01-20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