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변혁하는 역사가 발전한다” 공자님이 노나라에서 찾은 교훈

“변혁하는 역사가 발전한다” 공자님이 노나라에서 찾은 교훈

이경형 기자
입력 2016-01-15 17:54
업데이트 2016-01-16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춘추공양전/공양자 외 지음/곽성문 옮김/인간사랑/776쪽/3만 5000원

춘추공양전은 공자가 저술한 것으로 전해진 ‘춘추’를 해석한 춘추좌씨전, 춘추곡량전과 함께 이른바 ‘춘추삼전(三傳)’의 하나다. 춘추삼전은 유가(儒家)의 핵심 경서(經書)인 ‘13경’에 포함된다. ‘춘추’는 주 왕조 시대에 제후국이었던 노나라의 14대 임금인 은공 원년(기원전 722)부터 27대 임금인 애공 14년(기원전 481)까지 노나라 열두 임금의 242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이미지 확대
춘추의 경문(經文)은 매우 간략하고 추상적일 뿐 아니라 표현이 완곡해 그 뜻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 이러한 경문의 뜻을 풀어 설명한 것이 전(傳)이다. 공양전은 질문과 답변의 형식으로 서술돼 있어 이해하기 쉽다. 춘추엔 장공 24년의 사실(史實)을 기록하면서 “겨울, 융이 조나라를 침략했다. 조나라의 기(羈)가 진나라로 달아났다”고만 돼 있다. 공양전엔 이 대목을 이렇게 해설하고 있다. “융이 조나라를 침공했을 때 조기가 간언을 올렸다. ‘융은 무리가 많고 신의가 없으니 임금께서는 친히 나서서 대적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조나라 임금이 말했다. ‘그렇게 할 수 없다’ 세 차례나 진언했으나 임금이 들어주지 않자 조기는 떠나갔다. 이를 두고 군자는 조기의 언행이 군신의 도리에 합당한 것으로 여긴 것이다.”

춘추공양전 제7장 장공 7년(기원전 687)에는 “마치 비가 내리는 것처럼 유성이 떨어져 내렸다는 것이지 비가 내린 것은 아니다” 등 인류 역사상 최초로 유성우에 관한 관측 기록을 해설하고 있다. 또 제2장 희공 2년 편엔 “춘추시대에 접어들어 주 왕실이 쇠약해지면서 각국 제후들의 무력을 동원한 약육강식의 경쟁으로 봉건제도의 근본이 무너지는 상황을 ‘위에는 밝은 천자가 없고, 아래에는 제후들을 다스릴 방백이 없다’는 말로 요약하고 있다. (…) ‘힘을 가진 제후’ 즉 패주가 등장해서 질서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내 첫 완역본을 낸 곽성문(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사장)은 청(淸) 말기 망국의 위기에 처한 당대의 개혁적 지식인 캉유웨이(康有爲) 등이 공양전에 심취한 것은 “변혁에 바탕을 둔 역사발전관” 때문이며 여기에서 청대 개혁운동가들이 변법유신의 이론적인 기반을 찾았다고 말한다.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한 역자는 2008년 5월 17대 국회의원을 끝내고 6년여 동안 전통문화연구회, 한국역사문화원 등에서 사서오경 등 중국 고전을 연구하고 서강대 대학원에서 중국학을 전공했다. 어릴 때부터 할아버지로부터 한문을 공부했다는 역자는 “지금 이 시대가 요구하는 대의가 무엇인지 그 해답을 찾으려면 공양전이 그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한다.

이경형 주필 khlee@seoul.co.kr
2016-01-16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