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서울 낙산 안양암 마애관음보살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서울 낙산 안양암 마애관음보살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1-15 17:48
업데이트 2016-01-1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제의 한국 병탄 1년 전 조성… ‘국민의 구원자’ 불교적 의미

뭔가 답답하면 ‘나무관세음보살’ 하고 되뇌는 할머니들이 있다. 대표적인 불교 경전의 하나인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중생이 온갖 고뇌에 시달릴 때 한마음으로 관세음보살을 부르면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고 가르친다. 불교의 깊은 가르침을 알 길 없고, 해탈에 이르기는 더더욱 어려운 중생이라도 그저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하고 마음을 모아 부르기만 하면 구원해 준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 낙산의 남동쪽 기슭인 창신동 바위 자락에 새겨진 관음보살상.
서울 낙산의 남동쪽 기슭인 창신동 바위 자락에 새겨진 관음보살상.
●“관세음보살” 부르면 고통 벗어난다고 전해와

불교는 인도에서 티베트를 거쳐 중국, 한국, 일본으로 퍼져 나가면서 수많은 관음신앙의 성지를 만들었다. 관음보살이 살고 있다는 전설의 산 포탈라카는 스리랑카에서 멀지 않은 인도 남동쪽에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믿어졌다.

따라서 불교가 퍼져 나간 곳에서는 관음성지, 즉 포탈라카의 상징성이 부여된 도량은 바닷가의 산을 중심으로 세워졌다.

바다가 없는 티베트조차 키추강을 바다로 상정하고 수도 라사를 포탈라카로 의미를 부여했다. 라사의 포탈라궁은 글자 그대로 관음보살이 살고 계신 곳이다. 다시 말해 포탈라궁의 주인 달라이라마는 관음보살의 화신이다. 티베트 사람들이 인도에서 망명 정부를 이끄는 달라이라마를 변함 없이 정신적 지도자로 여기는 까닭이다.

중국에서 포탈라카는 다양한 음역(音譯)이 이루어졌지만, 일반적으로 보타락가(補陀洛迦)로 썼다. 저장(浙江)성 닝보(寧波) 저우산(舟山)군도의 보타도(補陀島)가 대표적 관음성지다. 우리나라에서는 의상 대사가 신라 문무왕 11년(671)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고 관음굴을 지었다는 강원 양양 낙산사 홍련암을 최초의 본격 관음도량으로 본다.

이미지 확대
관음보살상이 새겨진 바위에 덧집을 지어 관음전이라 부른다.
관음보살상이 새겨진 바위에 덧집을 지어 관음전이라 부른다.
이미지 확대
대웅전과 관음전이 보이는 안양암 전경.
대웅전과 관음전이 보이는 안양암 전경.
●바위에 새겨 덧집… 觀音殿 편액 붙여 전각 역할

양양 낙산사를 비롯해 인천 강화 석모도의 낙가산 보문사, 경남 남해 보광산 보리암은 우리나라의 3대 관음성지로 꼽힌다. 여기에 전남 여수 돌산도의 향일암을 포함시켜 4대 관음성지로 부르기도 한다. 낙산이나 낙가산은 모두 보타락가의 줄임말이다.

서울의 낙산 역시 보타락가산을 상징한다. 연극의 거리로 유명한 대학로 뒷산이다. 안양암은 낙산 남동쪽 기슭인 창신동 산기슭에 조금은 위태롭게 자리잡고 있다. 커다란 바위에 관음보살을 새겨 놓았는데, 덧집을 만들고 ‘관음전’(觀音殿) 편액을 붙여 전각 역할을 하도록 했다.

높이 3.53m의 관세음보살좌상 곁에는 이 마애불을 조성한 내력도 새겼다. 관음보살이 조성된 1909년은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병탄이 이루어지기 바로 전해가 된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긴 대한제국의 고통이 갈수록 깊어지던 시기다. 6·25전쟁으로 낙산이 피란민의 판잣집으로 가득찬 뒤 관음보살이 위안을 주어야 할 존재는 더욱 늘어났다.

●6·25 피란민에 위안… 한국 봉제산업에도 기여

불교적으로 낙산 관음보살은 서울 주민 모두 나아가 국민 모두의 구원자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초의 조각이라고는 해도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상이 갖는 의미는 과소 평가되고 있는 듯하다.

창신동은 청계천과 함께 한국 봉제산업의 역사가 깃들어 있는 곳으로, 지금도 동대문 패션타운의 배후 생산기지 역할을 해 내고 있다. 창신동이 서울의 새로운 문화적 부심(副心)으로 떠올랐을 때 안양암과 마애관음보살상은 매우 중요할 역할을 해 낼 것이다.

글 사진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1-16 1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