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누가 이 나라의 환경 건강을 지킬까/이창석 한국생태학회장

[기고] 누가 이 나라의 환경 건강을 지킬까/이창석 한국생태학회장

김균미 기자
입력 2016-01-14 23:02
업데이트 2016-01-14 2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항공우주국(NASA)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중국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 중 하나로 나타났다. 그 자료는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을 근거로 삼은 것이어서 걱정이 앞선다. 미세먼지는 폐는 물론 혈관을 타고 뇌까지 도달해 암을 비롯한 여러 가지 병을 유발하며 인간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는 물질이기 때문이다.

이창석 한국생태학회장
이창석 한국생태학회장
그동안 우리 국민은 미세먼지가 주로 중국으로부터 오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발표를 보면 우리나라는 자체 오염만으로도 심각한 수준이다. 여기에 중국으로부터 날아오는 오염물질까지 더해지면 우리나라가 세계 최악의 오염 지역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은 석탄화력발전소까지 더 짓겠다니 그러면 우리의 오염 수준은 어떻게 될 것인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이런 최악의 시나리오가 사실일까 의심이 가다가도 몇 가지 환경지표를 점검해 보면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우선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 물질로 주목받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경우 우리나라는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중 10%만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숲이 흡수하고 나머지는 대기 중에 남겨 둔다. 이러한 이산화탄소는 물론 다른 오염물질까지 흡수를 기대하며 조성된 공원은 자연 외에 잡다한 인위시설을 과도하게 포함시켜 이산화탄소 흡수원이기보다는 발생원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 인간의 과도한 이용으로 파괴된 자연을 회복해 차원이 다른 환경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시도되는 생태적 복원사업 역시 효과가 수준 이하인 것으로 평가됐다.

선진국에서 환경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자연이 제공하는 생태계 서비스를 스스로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생태적 복원에서 도입해서는 안 되는 외래종을 도입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럼에도 이러한 사업을 추진한 정부가 다른 한편에서는 외래종을 제거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며 그곳에도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병 주고 약 주며 예산을 낭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와중에 선진 외국에서는 많은 희망적인 소식들이 들려온다. 숲이 부족한 도시 지역에 숲을 새로 도입해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비롯해 환경의 질을 크게 개선했다는 소식, 고비용 물 처리 시설 대신 적은 비용으로 유역의 생태계를 복원해 수질 개선은 물론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크게 향상시켜 주민 만족도를 크게 높였다는 소식 등이 그것이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복원사업에 대해 국제사회는 아주 혹독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즉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시행하는 생태적 복원 작업은 훼손된 자연을 치유해 새 생명과 활기를 불어넣는 사업인 반면 한국에서 시행되는 복원사업은 우선 기존의 자연을 파괴하고 그곳에 인위적 유사 자연을 창조해 전문용어에 혼선을 빚고 있다는 것이다. 해당 분야 전문가의 한 사람으로서 부끄럽기 그지없다. 이제라도 환경 분야에도 원칙과 전문성이 반영된 선진 행정이 펼쳐지기를 간절히 소망해 본다.
2016-01-15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