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혼밥보다 ‘혼밥’/황수정 논설위원

[씨줄날줄] 혼밥보다 ‘혼밥’/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01-13 23:10
업데이트 2016-01-14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덕선아! 숟가락 좀 놔라~”

화제의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 주인공의 집 담장 너머 울려 퍼지는 엄마의 대사다. 해거름 골목길을 비출 뿐인데, 숟가락의 웅변은 대단하다. 누구나 상상할 수 있다. 두레반에 가족 수만큼 수저가 놓이고, 둘러앉은 식구들이 정수리를 비벼 가며 저녁밥 먹는 장면을.

한 밥상에서 온 가족이 달그락거리는 수저 소리는 그 자체로 ‘복고’다. 1~2인 가구가 늘면서 세태는 어제오늘 다르다. ‘혼밥’(혼자 먹는 밥)이라는 조어는 인터넷 공간에서는 벌써 익숙하다. 혼밥의 극복 여부에 따라 세대가 갈린다. 혼자 먹기가 무안해서 끼니를 건너뛴다면 꼼짝없이 구세대다. 요즘 세대라면 낯설거나 불편하지 않다. 더 맛있는 혼밥을 즐길 수 있게 정보를 나누는 인터넷 커뮤니티도 많다. 그런 풍속에 스스로 ‘미식 유목민’이라는 이름표를 붙여 부른다. 혼밥용 그릇까지 인기 있다니 설명이 더 필요 없겠다.

20~30대에게 나 홀로 문화가 뿌리내리는 속도는 무섭다. 혼자 술을 마시는 ‘혼술’, 혼자만의 쇼핑을 즐기는 ‘혼쇼’가 대세로 자리 잡는다. 이러니 나 홀로 소비를 겨냥한 시장 마케팅에 불꽃이 튈 수밖에 없다. 간단히 혼자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편의점 도시락들이 무한경쟁을 벌인다. 그 와중에 나온 유행어가 ‘편도족’(편의점 도시락족). 자고 나면 하나씩 나 홀로 족의 신조어가 들린다.

덕선이가 가족 수만큼 끼니마다 밥숟갈을 놓던 시간은 딴 세상 이야기다. 1~2인 가구는 재작년 이미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주목할 대목은 현실의 나 홀로 족은 혼자 있기를 자발적으로 선택한다는 사실이다. 최근 조사에서는 혼자 있거나 즐기는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직장인이 3명 중 2명이나 됐다. 페친(페이스북 친구)이 수백 명이라도 실제 만나는 사람은 몇 없다는 대답이 자연스럽다. 그제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2014년 국민건강 통계’도 같은 맥락이다. 가족과 저녁을 함께 먹는다는 답변은 해마다 줄고, 도시에 살수록 그 확률은 더 낮았다.

도시민들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얻는 행복은 현대사회가 붙들고 놓지 못할 화두다. 도시 생활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세계적인 행복 경제학자 존 헬리웰은 우리를 대신해 주판알을 튕겨 준다. “만약 국민의 10%가 삶에서 의지할 사람이 있다고 느낀다면 국민 생활만족도는 전 국민의 임금을 50% 인상한 효과보다 더 높다”는 대차대조표다.

열심히 혼밥을 먹는 우리는 한참 밑지는 장사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뢰하는 타인과 함께 있을 때 포유류에게는 옥시토신이 분비된다. 한 번에 길게는 20분간 평온함을 느끼게 하는 행복 호르몬이다. 옆구리 썰렁한 혼밥보다야 여럿이 숟가락을 드는 영혼의 보양식, ‘혼(魂)밥’이 낫다는 계산이다. 경제학자의 머리를 빌릴 것도 없는 얘기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01-14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