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젠 바꿔보자”… 영·호남 연대의 쾌거

“이젠 바꿔보자”… 영·호남 연대의 쾌거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1-13 00:30
업데이트 2016-01-13 0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호남 출신’ 김병원 농협중앙회장 삼수 끝 당선 안팎

‘역전과 반전’이 거듭된 한 편의 드라마였다. 12일 23대(민선 9대) 농협중앙회장에 당선된 김병원 전 남평농협 조합장 얘기다. 선거운동 초반엔 다른 후보들에게 다소 밀려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됐던 김 당선자는 결선투표(2차 투표)에서 뒤집기에 성공하며 ‘삼수’ 끝에 회장직을 거머쥐었다. 특히 영남과 호남이 처음으로 합심해 28년 만에 첫 민선 호남 출신 회장을 배출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이미지 확대
12일 서울 중구 충정로 농협중앙회 대강당에서 열린 23대 회장 선거에서 김병원 당선자가 감사 인사를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altago@seoul.co.kr
12일 서울 중구 충정로 농협중앙회 대강당에서 열린 23대 회장 선거에서 김병원 당선자가 감사 인사를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altago@seoul.co.kr
김 당선자는 “235만 조합원이 웃으며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농협을 만들어 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내년 2월로 예정된 농협경제지주 분리 폐지 등을 공약으로 내걸고 당선됐다. 하지만 농협법을 고쳐야 해 관철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낡은 관행을 뜯어고치겠다고도 공언해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김 당선자는 2007년과 2011년에도 회장 선거에 도전했다. 2007년에는 1차 투표에서 1등을 하고도 당시 2등이었던 최원병 현 회장에게 결선투표에서 밀려 고배를 마셔야 했다. 2011년에도 연임에 나선 최 회장과 맞붙어 석패했다. 세 번째 도전이었던 이번 선거에서는 8년 전 김 당선자를 울렸던 결선투표에서 ‘2등의 이변’을 스스로 재현했다.

지역조합장을 세 번이나 하면서 밑바닥 표심을 워낙 잘 다져 온 김 당선자의 저력이 주된 이변 요인으로 꼽힌다. 김 당선자는 1978년 농협에 입사해 전남 나주 남평농협 전무를 거쳐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조합장을 지냈다.

‘최원병 체제에 대한 반감’도 크게 작용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결선투표에서 김 당선자에게 무릎을 꿇은 이성희 후보는 최 회장의 지원사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후보가 당선되면 도로 최원병”이라는 냉소가 농협 안에 적지 않았다. 한 조합원은 “최 회장이 8년간 장기 집권해 ‘이제는 바꿔 보자’는 분위기가 반전을 이끌어 낸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하나 눈길을 끄는 대목은 영남 표심이다. 9번 치러진 역대 민선 회장 선거에서는 1차 투표 2, 3순위 후보가 결선투표에서 연대해 승부를 뒤집는 장면이 종종 등장했다. 다만 호남과 영남이 ‘태백산맥’을 넘어 연대한 사례는 없었다. 그런데 이번엔 1차 투표에서 74표(25.5%)를 얻어 3위를 기록한 최덕규 가야·합천조합장(경남)의 표가 결선투표에서 김 당선자 측으로 옮겨 갔다고 분석된다. 경북 표는 이 후보에게 쏠린 반면 충청·강원 표는 김 당선자에게로 향했다는 내부 전언이다. 결국 영남 표가 갈라지면서 김 당선자(163표)가 예상 밖 표 차로 이 후보(126표)를 따돌렸다는 것이다.

이는 첫 호남 출신 회장 배출로 이어졌다. 앞서 민선 1·2대 한호선(강원), 3·4대 원철희(충남), 5·6대 정대근(경남), 7·8대 최원병(경북) 등 총 4명의 역대 회장은 모두 비호남권 출신이다.

‘천년회’의 거취도 관심거리다. 천년회는 최 회장의 고향인 ‘천년 고도 경주’에서 따온 말로 2007년 12월 결성됐다. 당시 중앙회장 선거에 나선 최원병 회장 캠프에서 활동한 22명이 주축이 됐다. 농협 관계자는 “최 회장이 재임한 8년 동안 대구나 천년회 출신들이 요직을 차지하면서 상대적 박탈 기류가 있었다”고 전했다.

김 당선자의 임기는 3월 말로 예정된 농협중앙회 결산총회 다음날부터다. 이번부터 4년 단임제로 바뀌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6-01-13 5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