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노후에 필요한 소득은 얼마…어떻게 마련해야 하나

노후에 필요한 소득은 얼마…어떻게 마련해야 하나

입력 2016-01-11 09:21
업데이트 2016-01-11 09: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은퇴 전 소득대비 70% 정도 노후소득으로 확보해야

노년기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려면 은퇴 전 소득의 70% 정도를 미리 확보해두는 게 바람직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공·사적연금을 포함한 다양한 노후소득 수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연구원 성혜영 부연구위원은 11일 ‘노후생활을 위해 필요한 소득은 얼마이며 어떻게 준비하여야 할까?’란 글에서 이런 내용의 방안을 내놓았다.

성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노후 필요 소득은 은퇴 이전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이나 소비를 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이나 ‘소비대체율’이란 개념을 활용해 가늠하는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하는 34개 회원국의 명목 소득대체율은 평균 67.9%이다. 다시 말해 선진국에서는 개인 생애평균소득의 67.9%를 노후를 위한 소득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국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평균소득자 가구를 기준으로 은퇴 전 소득 대비 66.55%를 적정 소득대체율로 제시했다.

성 부연구위원은 이런 국내외 연구결과들에 비춰볼 때 평균 소득자를 기준으로 노년에 접어들기 전에 생애평균소득의 약 70%를 노후소득으로 확보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2014년 60세 이상 노인 가구주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약 266만원이며, 월평균 소비지출은 약 162만원으로, 전체 가구를 기준으로 소득은 약 63.9%, 소비지출은 약 63.4%에 불과하다.

그러면 이런 ‘소득대체율 70%’ 목표를 이루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성 부연구위원은 다양한 노후소득 보장장치를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먼저 국민연금으로 대표되는 공적연금에 가입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현재 가입기간 40년을 기준으로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40%이다. 하지만 극심한 청년실업난과 명예퇴직 등 불안한 노동시장 현실을 고려할 때 40년 가입기간을 채우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근로활동을 하는 시기에 최소 25~30년은 국민연금에 가입해 국민연금으로 25%내지 30%의 소득대체율을 확보하려는 목표를 세우는 게 좋다고 그는 조언했다.

여기에 소득하위 70%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세금을 재원으로 하는 기초연금으로 최소 10만원에서 최대 20만2천600원(2015년 기준)을 받는다.

성 부연구위원은 이 기초연금으로 5%내지 10%의 소득대체율을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사업장 근로자이면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같은 기간에 퇴직연금에 30년간 가입해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투자수익률을 반영하다면 15% 가량의 소득대체율을 확보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이처럼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퇴직연금으로 50~55%의 소득대체율을 확보하고 나서 나머지 15~20%의 부족분은 개인연금(연금저축-연금보험)과 예금, 적금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고 그는 제안했다.

물론 퇴직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자영업자 등은 사업자 근로자보다 개인연금과 저축을 더 많이 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