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핵실험 그날 밤, 北 두 가족 압록강 死線 넘었다

[단독] 핵실험 그날 밤, 北 두 가족 압록강 死線 넘었다

입력 2016-01-10 22:58
업데이트 2016-01-11 1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장·농촌간부 50대 부부와 딸 이중 철조망 뚫고 중국에 안착

지난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국 접경지역의 북한 주민 탈북 루트가 사실상 완전히 봉쇄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스스로 국경지대 경비를 대폭 강화한 것은 물론이고, 중국 당국도 북한으로부터 나오는 사람과 물자에 대한 통제 및 불법 입국자 수색의 강도를 한층 높인 결과로 알려졌다.

서울신문은 10일 북한인권단체와 국내 탈북 브로커 등을 대상으로 북·중 국경지대 상황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북핵 실험 당일 밤 사선(死線)을 넘어 중국으로 필사의 탈출을 감행한 북한 가족들의 소식을 입수했다. 복수의 탈북 브로커들이 확인해 준 내용을 옮겨 싣는다. 탈북자들의 안전을 위해 이동 과정이나 은신 지역 등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다. 북·중 접경지역의 삼엄한 분위기를 감안할 때 당분간은 이들이 ‘마지막 탈북자’가 될 수도 있다고 한 탈북 브로커는 전망했다.

지난 6일 오후 10시 북한 자강도 위원군에 사는 주민들이 반대편에 중국이 보이는 압록강 기슭에 다다랐다. 50대 부부와 그들의 이웃인 다른 50대 부부와 딸 등 5명이었다. 이미 지난 연말부터 압록강, 두만강 일대의 국경 철조망은 이중으로 강화된 상태였다. “강을 넘는 개도 사살하라”는 명령이 하달됐다는 소문이 일대에 파다했다.

두 가족은 앞서 집을 팔아 마련한 거금을 국경경비대 관계자에게 지불한 상태였다. 이 관계자가 때에 맞춰 일부러 자리를 비운 사이 5명 가족은 함께 손을 잡고 차디찬 강물에 들어갔다. 물소리가 클수록 들킬 위험이 크다고 생각해 다른 조력자는 두지 않았다. 온몸이 마비될 만큼 차가운 강물을 건너 두 가족은 중국 땅을 밟는 데 성공했다. 현재 모처에 몸을 숨기고 있다.

이들 중 한 명인 50대 가장은 탈북 다음날인 지난 7일 오후 10시 국내 탈북 브로커 A씨에게 전화를 걸어 “살려주시오”라고 외쳤다. 그는 “난 작은 공장 기업의 간부이고, 옆집 사람은 농촌 지역의 간부”라고 소개한 뒤 “위원군에서 더이상은 살길이 없어 탈출했는데, 남조선으로 가고 싶으니 도와줄 사람을 찾아달라”고 요청했다. 이 가장은 다음날 A씨에게 다시 전화를 했다. 그는 “중국 공안들의 감시가 아주 심한데, 우리가 ○○(중국 도시)이나 □□(〃) 쪽으로 언제쯤 빠질 수 있겠느냐”고 물었다. 하지만 A씨는 평소와 달리 뾰족한 조언을 해주지 못했다고 한다. 북한이 ‘도발’을 하고 나면 중국 당국이 탈북자 증가에 대비해 단속 수위를 대폭 높이는 통에 모든 상황이 불투명해지는 탓이다. A씨는 “앞으로 1주일 정도는 절대로 움직이지 말고 숨어 있으라는 정도로만 말해 주었다”고 전했다.

북한은 2013년 3차 핵실험 때에 이어 이번에도 중국 접경 지역의 탈북자 단속을 크게 강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탈북 브로커 B씨는 “국경 주민들의 경우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등을 하면 국제 원조가 크게 줄어 먹고살기가 더 힘들어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그래서 북한 당국은 이번 핵실험 전 국경 감시를 대폭 강화한 것으로 전해진다”고 말했다. 탈북인권단체 관계자 C씨도 “지난달 20일을 전후로 국경 경비를 대폭 늘렸다는 설이 있으며, 실제로 핵실험 이후에는 북한 내 브로커와 전화 연결이 전혀 안 되고 있다”고 전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6-01-11 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