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World 특파원 블로그] 1세대 한반도 전문가 오버도퍼와 보즈워스 그들의 허전한 빈자리

[World 특파원 블로그] 1세대 한반도 전문가 오버도퍼와 보즈워스 그들의 허전한 빈자리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6-01-07 18:20
업데이트 2016-01-08 14: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싱턴 특파원으로 부임하면서 인터뷰 대상자 명단 위쪽에 돈 오버도퍼가 있었다. 주한미군으로 복무했고 1997년 발간된 한국 근현대사의 생생한 기록물 ‘두 개의 한국’(The Two Koreas)의 저자이자 워싱턴포스트 기자,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USKI) 소장 등을 역임하며 60여년간 한반도 문제를 다룬 오버도퍼를 만나기 위해 1년 반쯤 전 지인을 통해 연락을 취했을 때 그는 이미 투병 중이었다. 지인은 ‘두 개의 한국’ 증보판을 쓴 로버트 칼린 전 국무부 정보조사국 동북아담당관이었다. 칼린은 “오버도퍼의 부인 로라를 통해 인터뷰 뜻을 전했으니 기다려 보자”고 했다. 기자는 1세대 한반도 전문가인 오버도퍼의 병세가 더 악화되기 전 그의 ‘못다한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다. 그렇게 기다리길 1년이 지난 지난해 7월 오버도퍼가 8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접했다. 그의 옆을 지켰던 부인 로라도 지병에 충격이 겹쳐 한 달 뒤 남편 곁으로 떠났다.

지난해 10월 USKI가 개최한 ‘북·미 제네바 합의 20주년’ 세미나에서 만난 스티븐 보즈워스 전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70대 후반 나이가 믿기지 않을 만큼 활기가 넘쳤다. 보즈워스 전 대표는 2009년부터 3년간 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를 맡아 한국을 찾았을 때마다 만났던 기자를 기억하고 있었다. 세미나 직후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북한의 의중을 알려면 적절한 대북 관여정책을 취해야 한다”며 미국 정부에 쓴소리를 했다. 1995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총장, 1997년 주한 미국대사 등을 역임한 그로서 답답함을 표출한 것이다.

기자는 보즈워스 전 대표에게 한국 특파원단과 별도 간담회를 하자고 청했다. 그는 현재 몸담은 하버드대 연구소가 있는 보스턴과 워싱턴을 오가며 생활한다며, 조만간 날짜를 잡자고 했다. 그러던 그가 건강이 좋지 않다는 소식이 들려왔고, 지난달 안부 이메일에 답장이 없던 그는 지난 3일 보스턴 자택에서 운명을 달리했다.

미국 내 대표적 1세대 한반도 전문가로 꼽히는 오버도퍼와 보즈워스를 6개월 새 모두 떠나보내면서 기자의 마음 한쪽에는 그들을 자주 만나 더 많은 것을 배우지 못한 아쉬움과 함께, ‘그들의 빈자리는 앞으로 누가 채우나’ 하는 생각에 안타까움이 커졌다.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감행해 한반도의 앞날이 더욱 암울한 요즘, 혜안이 있는 차세대 한반도 전문가들을 키우는 것이야말로 오버도퍼와 보즈워스의 뜻을 따르는 길이 아닐까 싶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1-08 1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