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풍계리, 들어가면 죽는 곳… 방사능 뭔지도 모를 北가족 걱정”

“풍계리, 들어가면 죽는 곳… 방사능 뭔지도 모를 北가족 걱정”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01-07 21:10
업데이트 2016-01-08 0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핵실험장 있는 길주군 출신 탈북자

“핵 실험장이 있는 풍계리는 주민들에게 ‘들어가면 죽는 곳’으로 악명이 높았어요. 고향에 있는 가족들은 위험한 줄도 모르고 방사능에 무방비로 노출될 텐데 걱정이 돼서 잠이 오지 않습니다.”

이미지 확대
북한의 4차 ‘수소탄’ 핵실험이 확인됨에 따라 7일 오후 기상청 국가지진화산센터 박종찬 지진화산감시과장(오른쪽)과 분석관들이 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 실험장 인근에서 파생된 인공지진 관련 자료를 놓고 정밀분석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의 4차 ‘수소탄’ 핵실험이 확인됨에 따라 7일 오후 기상청 국가지진화산센터 박종찬 지진화산감시과장(오른쪽)과 분석관들이 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 실험장 인근에서 파생된 인공지진 관련 자료를 놓고 정밀분석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만난 탈북자 박모(34·여)씨는 핵실험장이 있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대해 감시가 심해 접근이 불가능한 ‘진공 지역’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풍계리와 동쪽으로 맞닿아 있는 명천군에서 2012년 탈북했다.

박씨는 풍계리가 만탑산(해발 2205m)과 연두봉(1287m) 등으로 둘러싸인 첩첩산중이라고 전했다. 민가는 전혀 없고 북한군 9군단 사령부와 정치범 수용소 등 중요 시설만 있다고 기억했다. 군인들이 24시간 경비를 서고 실험장 인근 산에는 약초꾼으로 가장한 국가안전보위부 직원들이 있다. 이들은 법 절차 없이 사상 의심자나 간첩 등을 체포할 수 있다.

“일반 주민의 접근이 차단된 탓에 ‘길주에 있는 갱도에 들어가면 죽는다’고 말하며 평소에도 언급 자체를 꺼렸어요. 2006년과 2009년 핵실험 당시에도 땅이 크게 흔들린다고 느꼈을 뿐 핵실험을 했다는 것은 나중에 소문을 통해 들었죠.”

박씨는 북한의 학교에서 방사능의 위험성은 전혀 배우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당시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어서 미국이 공격하지 못하는 것이라는 내용만 배웠다”면서 “한국에서 방사능의 위험성을 알게 되면서 고향에 있는 부모님, 언니, 여동생이 더 걱정스러워졌지만 연락이 안 돼 애가 탄다”고 했다.

길주군에서 2003년 탈북한 이모(58)씨는 “산 좋고 물 좋던 내 고향 길주군이 핵실험장으로 변한 걸 정말로 믿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그의 집은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불과 23㎞ 떨어져 있다. 실험장 인근의 가장 가까운 민가다. 그의 탈북 이후 북한은 4차례 핵실험을 했다. 이씨는 “길주군 사람들은 모두 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을 그냥 마시는데 방사능에 곧바로 오염되는 것 아니냐”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1년에 한 번씩 중국에 있는 브로커가 내 아내를 국경으로 데려와 통화를 하는데 핵실험이나 방사능에 대한 경고를 해 줄 수도 없다”며 답답해했다. 통화가 모두 도청되기 때문에 가족의 이름도 언급하지 못하고 “첫째는 잘 있냐, 둘째는 잘 있냐”고 묻는 게 전부라는 것이다. 그는 그간 안보 강의, 막노동 등을 해 번 돈으로 1년에 한 차례씩 생활비를 부쳤지만 지난해부터는 일이 끊겨 생활비도 못 보내는 형편이다.

이씨는 “산골이어서 부인과 아들 모두 직업 없이 한국에서 부치는 돈으로 생활했는데 방사능 노출까지 겹쳐 너무 걱정”이라면서 “밥을 수시로 굶는 주민들을 나 몰라라 하고 막대한 돈을 들여 핵실험이나 하는 북한 집권층이 너무 원망스럽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6-01-08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