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中 당국의 ‘뒷북·오락가락’ 정책이 증시폭락 불렀다

中 당국의 ‘뒷북·오락가락’ 정책이 증시폭락 불렀다

입력 2016-01-07 15:44
업데이트 2016-01-07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증시가 재차 폭락세를 보이면서 당국의 정책 관리 능력에도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연이은 뒷북이나 일관성이 없는 오락가락 정책이 불안을 키운다는 지적이다.

7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의 주가 폭락은 작년 여름 증시 폭락과 이에 이어진 중국 당국의 일관되지 못한 정책 결정을 상기시킨다고 지적했다.

전날 시장을 안정시키고자 취한 조치들이 ‘주가 폭락 후 시장 구제’라는 지난여름의 행보와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이다. 당시 정책들은 시장의 불안을 오히려 키웠다는 지적을 받았다.

중국 당국은 지난 4일 주가가 6.86% 급락하자 다음날 곧바로 시장을 안정시키고자 시장에 개입했다.

개장 전 시중에 대규모 유동성을 공급하고 당국자 발언을 통해 시장의 불안 심리를 눌렀다. 위안화 약세 심리를 억제하기 위해 외환시장에도 개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덕분에 주가는 2% 이상 반등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이날 상하이증시는 7% 이상 폭락했고, 올해 들어 두 번이나 장중 거래가 완전히 중단되는 사태를 맞았다.

당국의 증시 안정 노력에도 시장의 불안을 막지 못한 것이다.

지난 4일 중국 증시가 폭락한 데는 이번 주 예정된 대주주 지분 매각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일부 작용한 것으로 해석됐다.

이 때문에 주가가 폭락하자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다음날 곧바로 증감회의 공식 웨이신(微信) 계정을 통해 “대주주 지분 매각 방법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연구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지분 매각 해제 연장을 기대했던 시장에 오히려 불확실한 메시지를 준 것으로 해석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당국이 명확한 방침을 내놓지 않으면서 증시 변동성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결국, 이날 주가가 재차 폭락해 주식거래가 완전히 중단되자 증감회는 대주주들이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3개월 내 매각 지분이 1%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고 발표했다. 또 대주주가 주식시장에서 지분 매각에 나설 경우 15거래일 전에 지분 매각 계획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대주주의 지분 매각을 어렵게 해 증시 폭락을 막겠다는 것이지만, 시장의 투자 심리를 개선할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과거 경험으로 볼 때 주가가 폭락할 때마다 당국의 뒤늦은 개입은 오히려 시장의 불안만 높였기 때문이다.

당국의 혼란스러운 행보는 이번에도 이어졌다.

인민은행은 6일 위안화 기준환율을 전날 마감가보다 높게 고시했다. 스스로 위안화 약세 가속화를 부추긴 것이다. 5일 시장 마감가는 6.5199위안을 기록했지만, 6일 기준환율을 6.5314위안에 고시했다.

FT는 이에 대해 당국이 스스로 만든 규정을 깨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인민은행은 작년 8월 위안화 기준환율 산정시 시장 환율을 반영해 고시하겠다고 언급하며 위안화를 크게 절하시켰다. 그러나 이날 기준환율을 시장 환율보다 더 높게 고시하면서 투자자들에 당국이 빠른 위안화 절하를 유도하고 있다는 인상을 줬다.

결국, 이날 위안화 환율은 역외에서 6.70위안을 돌파하며 위안화 가치는 크게 절하되며 증시 폭락을 불렀다.

당국의 정책에 대한 불신과 작년 하반기 이후 주가 랠리에 대한 밸류에이션 부담, 새롭게 시작된 서킷 브레이커 제도, 여기에 경기 부진 재료까지 겹치면서 중국 증시에 대한 회의론은 강화되고 있다.

FT는 오는 19일 4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 발표를 앞두고 당국이 현 주가 수준을 유지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한 전문가는 FT에 작년 주식시장을 활보한 “망령들이 올해도 전면으로 돌아왔다”라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