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위안부 타결, 그 이후 과제는/이기철 국제부장

[데스크 시각] 위안부 타결, 그 이후 과제는/이기철 국제부장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6-01-04 18:12
업데이트 2016-01-05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군 위안부 문제 타결로 한국과 일본은 자국에서 홍역을 치르고 있다. 가장 보수적이라는 일본의 아베 신조 정권은 지지 기반인 보수층으로부터 ‘정부 책임을 인정했다’며 극심한 반발을 받고 있다. 한국 역시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양국 정치권과 당국자들이 정치적 위기를 모면하거나 외교적 성과를 과시하려고 무책임한 언행을 쏟아내는 것은 자제할 일이다. 서로 아전인수 식으로 해석하고 주장하면 양국 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기철 국제부장
이기철 국제부장
지난달 28일 나온 공동 발표문에서 대다수 한국인은 ‘법적 책임’과 ‘일본 정부의 강제 동원’ 등의 표현이 빠진 것에 대해 만족스럽지 못해 한다. 피 묻은 돈 100억원을 받고자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첫 증언 이후 24년 동안 1200여회에 이르는 수요집회와 미국에서의 위안부 결의안 채택, 전국 곳곳에 들어선 소녀상…. 절절한 그 몸부림을 쳤는가 하는 자괴감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조건에 타결한 것은 미흡하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한편으로 역사적 죄인이 되는 길을 피했다는 생각도 든다. 1997년 세상을 떠난 김 할머니를 비롯해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했던 230여분 가운데 46명만 살아 계신다. 지난해에만 아홉 분이 돌아가셨다. 훗날 마지막 할머니가 이런 사죄라도 받지 못하고 돌아가신다면 우린 얼마나 죄스러울까.

일본이 “당시 군의 관여”와 “일본 정부의 책임 통감”을 표명한 것과 아베 총리가 “일본 총리로서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한다”고 밝힌 것은 과거 어떤 담화보다 더 나아간 대목이다. 이런 마음을 아베 총리가 공개적인 자리에서 밝혔으면 하는 것은 진한 아쉬움은 남는다. 일본 시민단체들도 아베 총리의 공식적 사죄를 요구한다.

일본에 독일과 같은 사죄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 주장에 공감한다. 그러나 일본 지도자들에게 빌리 브란트 전 총리와 같이 독일 지도자들이 했던 사죄를 요구하기에는 그들의 양심상 무리였다는 것을 우리는 그동안의 경험으로 알고 있다. 브란트는 1970년 12월 7일 추운 겨울날 폴란드 바르샤바의 홀로코스트 희생자 위령탑 앞 차가운 콘크리트 바닥에 약 30초간 무릎을 꿇었다. 그는 아무런 말을 하지 않았지만 사죄나 책임을 언급한 것보다 더 큰 울림을 줬다. 독일이 홀로코스트 문제에 대해 사죄한 지 오래됐지만 지금도 꾸준히 사과하며 ‘역사를 기억하자’고 거듭 말한다. 반면 일본 정치인들은 과거사에 대해 ‘퇴행적 망언’을 되풀이해 왔다. 특히 일본 각료가 위안부 등에 대해 망언을 하면 ‘불가역적 합의’는 일본이 뒤집는 것이 된다. 타결안이 파기되면 우리는 일본의 후안무치함을 부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타결로 한국과 일본이라는 국가 대 국가의 소모적 외교 분쟁은 일단락됐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민간 영역에서, 학술 분야에서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연구 활동, 자료 조사 및 발굴 활동은 계속돼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영화로, 책으로, 음악으로 끊임없이 치유의 과정을 생산해야 하는 과제를 후손들이 떠안았다. 이스라엘이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에 대해 서독 정부와 1952년도에 협약을 맺었지만 나치 추종자들을 추적해 70년이 흐른 지금까지 법정에 세워 단죄하고 있듯이 말이다. 또한 정부에 대한 섭섭함과 노여움이 가시지 않은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을 진정으로 위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위안부 문제는 이제 겨우 한 발짝 내디뎠을 뿐이다.

chuli@seoul.co.kr
2016-01-0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