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왕실 가마터서 나온 고려청자, 전성기를 본다

왕실 가마터서 나온 고려청자, 전성기를 본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1-05 00:02
업데이트 2016-01-05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박물관 테마전 ‘강진 사당리 고려청자’

우리나라 공예문화의 정수인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을 집중 조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새달 21일까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테마전시실에서 열리는 테마전 ‘강진 사당리 고려청자’다.

이미지 확대
청자기와.
청자기와.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청자 참외 모양 병.
청자 참외 모양 병.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청자 연꽃 모양 향로.
청자 연꽃 모양 향로.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청자 용무늬 참외 모양 매병.
청자 용무늬 참외 모양 매병.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청자 연꽃무늬 병.
청자 연꽃무늬 병.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는 고려 왕실에서 사용한 청자를 생산한 가마터로 유명한 곳이다. 1964년 봄 사당리 일대에서 ‘청자기와’가 발견되면서 가마터의 실체가 드러났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977년까지 사당리 일대를 발굴 조사해 10만여점이 넘는 청자편들과 일부 백자편을 수습했다. 박물관 측은 “청자편들은 기존에 알려진 명품만으론 한계에 부딪혔던 고려청자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이번 테마전엔 사당리 가마터 출토품 중 엄선한 도자편과 대표적인 청자 명품 등 200여점이 전시됐다. 김영나 국립중앙박물관장은 “강진 사당리는 당대 최고의 기술과 고려인들의 감성이 만들어낸 고려청자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곳”이라며 “가마에서 막 꺼내 햇빛 아래 빛났을 청자의 생생한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전시는 3부로 구성됐다. 1부 ‘발굴의 실마리, 청자기와’는 사당리 가마터 발굴 계기가 된 ‘청자기와’를 다룬다. ‘청자기와’는 1157년(의종 11) ‘양이정(養怡亭)에 청자기와를 덮었다’는 ‘고려사’ 기록을 입증해 주는 유물이다. 수키와, 암키와, 수막새, 암막새 같은 기와부터 건축 부재로 추정되는 상감 청자판(靑磁板)까지 고려청자의 다양한 쓰임새를 확인할 수 있다.

2부 ‘색, 형, 무늬의 향연’에선 사당리의 순청자(純靑磁)를 통해 전성기 고려청자의 특징을 살펴본다. 초록과 푸른빛, 투명함이 절묘하게 결합된 고려청자의 비색(翡色)은 동시대 중국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동식물 모양으로 생동감 있게 표현된 상형(象形)청자를 비롯해 수십 가지에 달하는 다양한 기종과 기형의 청자들은 당시 청자가 얼마나 활발하게 생산됐는지를 알려준다. 정교하고 섬세하게 표현된 무늬는 색상, 형태와 함께 절정기 고려청자를 완성한 요소 중 하나였음을 보여준다.

3부 ‘흑과 백, 화려한 장식’은 상감, 철화, 철채, 철채상감 등 다양한 기법으로 장식된 청자편을 소개한다. 무늬를 회화적으로 표현한 고식(古式) 상감청자에서부터 조선 분청사기로 이어지는 말기의 상감청자까지 다양하게 구비됐다. 박물관 측은 “인종(1122∼1146) 장릉에서 출토된 ‘청자 참외 모양 병’(국보 94호)이나 ‘청자 연꽃 모양 향로’ ‘청자 용무늬 매병’ 등과 유사한 청자편은 사당리 출토품이 전성기 고려청자의 원형이었음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1-05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