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제 블로그] “글로벌 IB가 되기 위한 조건은 세 가지입니다”

[경제 블로그] “글로벌 IB가 되기 위한 조건은 세 가지입니다”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1-04 18:16
업데이트 2016-01-05 02: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금융권에서 가장 ‘핫’한 인물은 아마 박현주(오른쪽) 미래에셋 회장일 겁니다. 지난 연말 대우증권 인수에 성공하며 한국에서도 글로벌 투자은행(IB) 탄생을 꿈꾸게 했습니다. 박 회장은 오래전부터 “메릴린치나 골드만삭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겠다”고 말해 왔습니다. 비현실적으로만 들리던 그 꿈이 이제 눈앞에 다가왔습니다. 박 회장은 4일 신년사에서 “미래에셋 본사(서울 중구 센터원빌딩)에 1000평 규모의 글로벌 트레이딩 룸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국내외 주식과 채권을 전문적으로 거래하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세계 시장을 향한 첫걸음인 셈이지요.

물론 미래에셋과 대우증권을 합해도 자기자본은 8조원이 안 됩니다. 일본의 노무라증권(자기자본 28조원)이나 미국의 골드만삭스(97조원)에 비하면 아직 걸음마 수준에 불과합니다.

김용환(왼쪽) 농협금융 회장은 평소 친분이 두터운 박 회장을 최근 사석에서 만나 ‘세 가지’를 잊지 말라고 했답니다. 경제관료 출신으로 수출입은행장도 지낸 김 회장은 해외 파트너들을 만날 때마다 ‘왜 우리나라에는 글로벌 IB가 없을까’를 고민했다네요. 김 회장이 생각하는 글로벌 IB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세 가지입니다. 바로 돈(자본력), 경험, 사람입니다. 미래에셋의 자본력은 해외 IB들과 견주어 아직 초라합니다. 경험도 마찬가집니다. 미래에셋그룹은 2003년 홍콩에 자산운용법인을 세워 해외 부동산 투자에선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 자금 조달이나 인수·합병(M&A),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광활한 IB의 세계에는 명함조차 내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당장 내세울 자산은 ‘사람’뿐입니다.

김 회장은 “한국처럼 자본력과 경험이 일천한 상황에선 ‘맨땅에 헤딩’하듯 사람을 만나고 네트워크를 개척하는 것, 즉 발로 뛰는 영업이야말로 해외 진출 성공의 유일한 키워드”라고 강조합니다. 이는 비단 미래에셋뿐 아니라 금융권 전체에 해당하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그동안 현지 진출 한국 기업이나 교민들만 상대하면서 해외 진출에 성공했다고 박수치던 것이 우리 금융권의 현주소여서죠. 현지 시장의 진입 장벽이나 우리 정부의 지원 부족 등 현실적인 난관도 많지만 금융권 스스로도 ‘발바닥에 땀나도록’ 뛰어 봤는지 한번쯤은 돌아볼 일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6-01-05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