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2년 北·美 2·29 합의 뒤 美, 南·北 고위 회동 주선했다”

“2012년 北·美 2·29 합의 뒤 美, 南·北 고위 회동 주선했다”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6-01-03 22:46
업데이트 2016-01-03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의 통미봉남 정책으로 불발 밝혀져

미국 정부가 2012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타결한 북·미 ‘2·29 합의’ 이후 남북 고위 당국자 간 뉴욕 회동을 주선했고, 이어 북·미 고위 당국자 간 회동까지 추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북한의 ‘통미봉남’(通美封南) 전략에 따라 남북 회동이 불발됐으며, 결국 2·29 합의가 깨지면서 북·미 관계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이 같은 사실은 2일(현지시간) 미 국무부가 공개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개인 이메일에서 확인됐다. 북·미 간 비공식 창구인 ‘뉴욕채널’의 미 측 담당자인 클리퍼드 하트 당시 국무부 6자회담 특사는 2·29 합의 직후인 3월 4일 북측의 한성렬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차석대사에게 전화를 걸었다. 하트 특사는 3월 7~9일 뉴욕에서 열리는 ‘트랙 2’ 콘퍼런스에 참석하려는 북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리용호 외무성 부상의 비자 발급을 승인한다는 소식과 함께 한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당시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콘퍼런스에 참석한다는 사실을 전하면서 남북 간 회동을 할 것을 북측에 제안했다. 하트 특사는 특히 “리 부상이 임 본부장과 만나고 북·미 관계가 긍정적 분위기를 이어 간다면 시드니 사일러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국 담당 보좌관과 내가 뉴욕으로 가서 회담을 가질 것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남북 회동이 열리면 북·미 회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그러나 북측이 통미봉남 전략을 유지한 채 콘퍼런스에서 한국 측을 냉대하면서 남북 간 회동이 불발됐다. 남북 회동을 껄끄럽게 생각했던 한국 정부는 미 측의 권고로 콘퍼런스에 참석했지만 스타일만 구긴 채 귀국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1-04 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