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6 신춘문예 소설 당선작-심사평] 새 이야기 방식·강렬한 페이소스 지녀

[2016 신춘문예 소설 당선작-심사평] 새 이야기 방식·강렬한 페이소스 지녀

입력 2015-12-31 16:50
업데이트 2016-01-01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본심에 올라온 9편의 작품 가운데 단 한 편의 작품만을 제외하고는 제목이 모두 외국어(특히 영어)나 외래어로 된 것이었다. 외국어를 쓰면 안 된다거나 무조건 시류를 거부하는 게 좋다는 건 아니지만 소설의 입구이면서 문패와 같은 제목에서 외국어가 남발되면 작품의 정체성, 개성이 흐려질 염려가 있다. 쓸 이야기는 부족하고 반성 없는 발설의 충동만 느껴지는 작품은 공허하고 겉멋이 들어 보일 뿐이다. 정교하고 압축된 이야기와 강력한 구조, 경제적인 언어를 지향하는 단편소설에서는 공감대와 설득력을 구축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심사위원 최윤(왼쪽) 서강대 교수, 성석제 소설가.
심사위원 최윤(왼쪽) 서강대 교수, 성석제 소설가.
강명균의 ‘몰’은 많이 가다듬은 흔적이 보인다. 그런데 물신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개인들의 고독, 허위의식 같은 이야기가 이미 평범할 대로 평범해져 버린 것이라는 데 문제가 있다. 서사는 현대성의 거죽에서만 머물 뿐 깊이를 갖지 못한다. 차하율의 ‘상자 속의 뱀은 어디로 갔을까’는 특이하고 흥미롭다. 단, 집안에서 잃어버린 물건을 찾아 주는 신종 직업이 등장하고 해외 선물시장의 치열한 전장이 묘사되는 중반부까지만. 후반부에서는 앞서에서의 이야기가 제자리걸음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독자의 호기심을 스스로 소거해 나가기 시작한다.

권용주의 ‘론리 플래닛’은 치밀하고 단단한 이야기와 세부를 가지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정처도 없고 오갈 데 없는 난민의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오래되긴 했어도 여전히 뜨거운 화두다. 하지만 단편소설이라는 짧고 좁은 시공 속에 그런 포괄적인 주제에 대해 너무 많은 것을 담으려는 노력이 오히려 작품을 지루하고 산만한 것으로 만들고 있다.

당선작으로 쉽게 합의한 김현경의 ‘핀 캐리’(pin carry)는 독특하다. 일단 이 소설은 평범한 한 남자의 어두운 정열과 ‘일부러 져서 이기는 게임’이라는 새로운 이야기 방식을 선보였다. 구성이 단단하고 초점이 분명하며 인물이 살아 있다. 또한 본심에 오른 다른 작품에 비해 유난히 강렬한 페이소스를 가지고 있었다. 이것이 계속 소설을 써 나가는 데 긴요한 에너지원이라고 판단했다. 당선자에게 축하를 보내며 아쉽게 다음을 기약하게 된 분들의 분발을 바란다.

2016-01-01 3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