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로 키워 온 ‘소프트파워’의 미래는

한류로 키워 온 ‘소프트파워’의 미래는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10-02 22:54
수정 2015-10-02 2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코리안 쿨/유니 홍 지음/정미현 옮김/원더박스/320쪽/1만 4800원

이미지 확대
후진타오(胡錦濤) 전 중국 국가주석은 한국 드라마, 특히 ‘대장금’을 좋아한다고 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전 세계가 한류의 영향을 받는 게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치켜세운 적이 있다. 믿고 싶지만, 정치 지도자들의 말에서는 왠지 정치적 수사의 뉘앙스가 강하게 풍긴다. 한류는 정말 실재하는 현상일까. 불과 십수년 전만 해도 한국은 세계 대중문화의 절대적 수입국가였다. 한데 그 짧은 기간에 탄탄한 기반을 갖춘 대중문화의 수출국으로 떠올랐다? 한류의 본질에 대해 외려 한국인들이 반신반의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지 싶다.

새 책 ‘코리안 쿨’은 20세기의 지독한 가난과 혹독한 시대상을 딛고 21세기 들어 전 세계에 대중문화를 수출하는 나라로 급변한 한국에 대한 관찰기다. 프랑스와 미국에서 작가 겸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는 저자는 외국에서 한류의 인기가 일시적 유행이거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국한되는 현상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는 “한류는 아시아의 표준이자 국경을 넘어선 대중 정서가 됐다”는 미국의 아시아 대중문화 전문가 제프 양의 분석과 맥을 같이한다.

저자는 한국이 이미지를 통해 행사하는 무력인 ‘소프트파워’를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이 언제부터 어떻게 대중문화 강국으로 나설 수 있었는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지난 2년간 한국의 대중문화 산업 종사자들, 정부 관계자, 문화평론가와 학자, 기업인 등을 전방위로 인터뷰했다. 책은 그 결과물이다.

책은 내용상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우선 1~5장은 1990년대 이전의 딱딱하고 틀에 박힌 한국 사회를 돌아본다. 도저히 창작과 대중문화 발전을 예측하기 어렵던 시절에 어떻게 새롭고 담대한 도전의 맹아가 싹텄는지 그 배경을 살핀다. 6~13장에선 1990년대부터 케이팝과 드라마, 영화, 게임산업 등 각 대중문화 영역의 도전 과정을 상세히 짚었다. 그동안 밖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이면의 이야기들과 해외에서 한류를 보는 시각들도 담겼다. 운명적 경쟁자인 일본이 한국과의 대중문화 전쟁에서 어떻게 패했는가에 대한 분석도 흥미롭다.

14~15장은 한류의 내일을 조망하는 장이다. 국내 최대 기업 삼성을 사례로 한류가 경제·수출산업과 패키지를 이뤄 전 세계에 생활양식을 ‘판매’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마셜플랜으로 세계에 미국 문화를 전파하며 주도적인 위치를 만들었듯 한국도 이와 비슷한 영향력을 전파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펼쳐진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10-03 18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